논문 상세보기

한·중 차등 비교문에서의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 의미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ning of Degree Adverbs in Modern Korean which Corresponding to ‘更(gèng)’ and ’还(hái)’ in Disparity Sentence between Modern Korean-Chine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5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는 17권의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의 차등 비교문에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정도부사 표현에 있어서의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인지 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원형이론에서 Langacker의 연결망 모형을 바탕으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의 의미 연결망 모형 그리고 수평 차원에서의 원형이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차등 비교문 안의 한국어 정도부사 사용에는 정도상의 표현 되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부사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차등 비교문 안의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을 살펴보면서 정도부사 간의 양(量)의 격차 즉, 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문이 되어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두 대상 간의 비교 정도치를 극대화 하거나 반대로 극소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이 차등 비교문 안에서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반드시 양(量)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그중 본고의 연구를 통해 ‘중량(中量) 부사’ > ‘소량(小量) 부사’ 그리고 양(量)의 격차가 ‘0’ 일 때의 동일 선상에서 연이은 정도부사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various degree adverb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corresponding to “更(gèng)” or “还(hái)” in comparative sentences in 17 volumes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novels. Meaning network of each degree adverb in Korean language as well as prototype theory in the horizontal dimension were analyzed based on Langacker's Network Model, a prototype theory among research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degree adverbs only have differences in volume expressed, which makes variable expression of degree adverbs. In addition, on account of successive usage of degree adverbs in comparative sentences, the distance, in other words, quantity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adverbs is important. If the difference is not considered, the phrase becomes incorrect and cannot have a prototypical differential comparison effect. Furthermore, neither maximization nor minimization of the comparison quantity between the two targets is achievable. Therefore, for successive usage of degree adverbs to achieve its prototypical comparative effect in differential comparative sentences, consideration of quantity difference is compulsory. And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on the same line in case of ‘medium quantity adverb’ > ‘small quantity adverb’ and quantity difference is ‘zero’, successive usage of degree adverbs is possibl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 차등 비교문의 ‘更’과 ‘还’ 현황분석
    3.1 차등 비교문의 중국어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의미 비교
    3.2 두 가지 분석기준을 통한 의미 분석
4. 결론
저자
  • 이은민(창신대학교) | Lee Eun-Mi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