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의 대외정책과 해외 유학생 정책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n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5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중국의 대외정책과 유학생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의 시대별 주요 대외 이슈 및 그것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의 유학생 정책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는 데, 이러한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서도 정리가 되어있지 않은 부분이기도 하다. 즉 신중국 수립부터 개혁개방 이전 시기를 시작으로, 덩샤오핑 시대, 장쩌민·후진타오 시대, 시진핑 시대 까지, 신중국 설립 이후 70여 년 간의 중국 유학생 정책이 목표로 한 지향점을 파악해 보았다. 중국의 유학생 정책은 폐쇄에서 개방으로, 국가 간 조약에 의한 교환학생 중심에서 자비 유학생 중심으로 큰 전환을 보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히, 시진핑 시대에 이르러서는 ‘일대일로’ 구상과 연계하여 선상 국가를 새로운 유학생 유치 공급원으로 삼고자 하는 자비유학생 유치 전략도 엿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외정책과 유학생 정책과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파악해 보았다.

A Study on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n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n China. In particular, the special focus is placed on China‘s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with “One Belt One Road(一帶一路)” initiative announced by Xi Jinping(习近平) as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2013. Firstly, we look at the major foreign issues and its policy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as one of its ‘components’, which has not been analyzed in China and abroad. From the initial period of new China, through the reform and opening-up period, to the Deng Xiaoping(邓小平) era, Jiang Zemin(江泽民), Hu Jintao(胡锦涛) era, and Xi Jinping era are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the goal of China‘s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by period are identified, and the conceptual flow leading to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as one of the main foreign strategies of Xi Jinping era an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s examined. Lastly, we compare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n China with foreign polict such as “New North Policy” and “New South Policy” of Moon Jae-in government in Korea for policy implication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중국의 시대별 대외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변화
    1) 개혁개방 이전 : 국가 간 협정에 의한 유학생 교육
    2) 덩샤오핑 시대 : ‘평화와 발전’과 자비유학생 교육 시작
    3) 장쩌민·후진타오 시대 : ‘신 안보관’과 자비유학생 교육의 발전
    4) 시진핑 시대 : ‘대국관계 신모델’과 ‘일대일로’ 유학생 교육
3. 나가는 말
저자
  • 황지유(동신대학교 사회문화대학 국제어문학부 중국어학전공) | Hwang Ji-You (東新大學校 社會文化大學 國際語文學部 中國語學專攻)
  • 김병철(中國人民大學 勞動人事學院 社會保障學科) | Kim Byung-Cheol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