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의 가치평가를 통한 공원일몰제 대응방향 수립 KCI 등재

A Study on the Response System of Unexecuted Urban Neighborhood Parks through Park Value Assess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36곳의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행정구별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결과 및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공원일몰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활용방향을 설정해보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의 선정은 선행연구된 미집행공원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하였으며,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공원별, 행정구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활용방향의 설정은 평가결과 및 법적근거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으로 제안해 보았으며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집행 근린공원별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평가에는 접근성, 관리상태, 생태네트워크 기여도 지표를 활용하였다. 접근성 및 관리상태 지표에 대한 평가결과 학산공원, 화랑공원, 송현공원 등이 접근성이 용이함과 동시에 관리역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생태네트워크 기여도 지표를 활용한 분석결과 달서구 및 서구, 달성군에 위치하고 있는 장기, 송현, 장동, 이현 공원 등이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동구의 돈지봉, 신암, 망우 공원 등은 낮은 구축된 녹지네트워크선과 멀리 떨어져 있어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행정구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원서비스 소외지역 면적률에 대한 분석 결과 서구와 남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면적 감소지표 분석결과 가장 많은 장기미집행 공원을 보유하고 있는 달성군이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동구, 서구, 남구, 북구의 경우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구밀도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서구와 남구가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보이고 있어 일몰제 시행에 따른 공원면적 감소 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미집행 공원에 대한 활용방향 설정 결과 달서구의 경우 일몰제로 인한 영향이 매우 높음과 동시에 공원별 평가결과가 높게 나타난 학산, 두류, 송현공원이 위치하고 있어 이들 공원의 시 차원에서 매입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제약이 존재하는바 ‘녹지활용계약’을 통해 장기적 차원에서 대응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가올 공원일몰제 시행에 앞서 대구시 장기미집행 공원들의 합리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결정 및 토지이용계획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park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was conducted for 36 long - term neighborhood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legal bas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set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unset of the pa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l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analysis was done by analyzing the research on the uncovered park, which was previously studied, and the park and administrative classification were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Next,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egal basis, we propose three directions for the utilization direction.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value of the park was evaluated by using the spatial data constructed. The accessibility, the management condition and the ecological network contribution index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accessibility and management condition index, Haksan Park, Hwarang Park, and Song Hyun Park are easy to access and manage wel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ecological network contribution index showed high scores Songhyeon and Jangdong, Ihyeon parks in Dalseogu, Seogu, Dalseonggun, whereas the Donjibong, Shinam, they were far away from the network-line and showed low scores. Next, the evaluation results of administrative division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rea ratio of the park service outsourcing area are as follows. Seogu and Namgu will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ark area decrease index shows that the longest unoccupied park has the greatest impact. In the case of Donggu, Seogu, Namgu and Bukgu, Finally, it is analyzed that population density index shows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Seogu and Namgu. In the case of Dalseogu, the effect of sunset is very high, and there are Haksan, Duryu, and Songhyun Park, where the park evaluation results are high, so that systematic management is carried out through purchase at the city level of these parks. However, a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t is desirable to find a direction in the long term through the ‘contraction of park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and land use planning for reasonable utilization of long - term parks in Daegu city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pcoming park area abolition syste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 내용 및 방법
    2.1 연구 대상지 및 범위
    2.2 연구 수행절차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미집행 근린공원별 평가
    3.2 행정구별 평가
    3.3 활용방향 설정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진효(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nhyo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나정화(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unghwa R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조현주(대구대학교 도시조경학부 조경학과) | Hyunju Cho (Divi. of Urban Landscape,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이순주(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oonju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권오성(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Ohsung Kw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