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관계망 형성 측면에서 본 영구임대주택 옥외활동 시설의 이용 실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 △△단지를 사례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Actual Use and Usage Effect of the Outdoor Facilitie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from the aspect of Social Network Formation - In case of Nowon-gu △△ Apartment in Seou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통합과 포용력이 사회의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사회적 약자인 노년층과 저소득 계층의 여가 활동을 충족시키는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노원구 △△영구임대주택 거주민을 대상으로 옥외활동 시설에 대한 이용 실태와 주요 공간 이용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형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빈도, t-분석 그리고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단지 내 공간 및 시설이용 빈도는 복지관(36.9%), 나팔공원(17.9%), 텃밭(10.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인이 교류하는 이웃의 수는 텃밭(13.44명), 나팔공원(6.47명), 복지관(5.13명) 이용자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텃밭 이용자는 이웃 간 교류의 범위가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그룹을 통해 정보의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다. 관계의 질적 수준 역시 일반적인 교류의 수준을 넘어 정보 교류 및 문제 발생 시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받는 상호 부조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산책, 휴식, 운동 등의 여가 활동이 이루어지는 나팔공원과 교육 활동이 제공되는 복지관의 경우 이용자들 간 교류의 범위가 좁고 집중화된 정도가 소수 그룹에 한정되었다. 본 연구는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자발적인 교류와 지속적인 옥외활동을 촉진하는 공간 및 시설에 대한 사회적 기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s social integration and inclusive cities are emerging as the main issues of society, the rol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that meet aged - friendly and low - income leisure is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outdoors facilities and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formation according to the main space for residents of Nowon - gu △△ permanent rental housing. Analysis used frequency, t-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pace and facilities in the complex was followed by the welfare center (36.9%), the napal park (17.9%) and the vegetable garden (10.2%). However, the number of neighboring commun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garden users (13.44) compared to those of welfare centers (5.13) and users of napal parks (6.47). In particular, users of gardening vegetable gardens have the widest range of exchanges among their neighbors, and exchanges of information have been actively taking place through large and small group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lationship has also been confirme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of reciprocal support that exchanges information beyond the level of general exchanges, or actively helps in the event of a proble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napal park where the activities such as walking, resting, and exercise are performed, the range of exchange between users was narrowed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wa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groups. It is important to motivate the use of outdoor activities and motivate them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facilitate natural encounters and exchanges with neighbors. This study implies the social function of the outdoor activity fac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voluntary exchange and health promotion of the residents in the vulnerable classes residing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의 내용
    2.2 연구대상지 선정 및 현황
    2.3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단지 내 옥외활동시설 이용실태
    3.2 주요 시설별 사회적 관계망 형성 차이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임정언(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Jung-Eon Lim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진욱(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Jin-Wook Lee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