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Study for the Relation between Fatty Liver Di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yperlipidemia KCI 등재

복부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지방간과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된 지방간 환자의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총 41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부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여 지방간이 확인된 환자 중 초음파 검사 시행일 기준 3개월 이내의 혈액학적 데이터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수치는 중성지방, AST, AL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지방간은 전체 변수 중 성별, 중성지방, AST, ALT와 관련성이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지방간 정도는 고지혈증의 혈액학적 수치와 직접적인 영향인자는 아니었지만 그 관련성 확인을 통해 지방간과 고 지혈증 동반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matologic hyperlipemia index and severity of fatty liver abdominal ultrasonography. A total of 412 adults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7 who underwent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ematologic data within 3 months of the ultrasound examination, were the target of the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matological valu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tty liv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riglyceride, AST and ALT (p <.05), fatty liver was associated with gender, triglyceride, AST and ALT (p <.05). In conclusion, the degree of fatty liver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hematologic value of hyperlipidemia, but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co-management with fatty liver and hyperlipidemia by confirming its relevanc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연구재료 및 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적 분석
Ⅲ. RESULT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지방간에 따른 혈액수치별 차이 분석
    3. 지방간과 각 변수와의 상관분석
    4. 지방간에 따른 각 변수별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Ⅳ. DISCUSSION
Reference
요 약
저자
  • Ga-Hul Lee(Department of International Radiological Science,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 이가희
  • Jong-Min Seok(Department of International Radiological Science,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Department of Radi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 석종민
  • Woo-Jin Jeong(Department of Radi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 전우진
  • Eun-Ju KO(Department of International Radiological Science,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of Soonchunhyang University) | 고은주
  • Jin Lee(Department of International Radiological Science,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 이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