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업용 남한 풍력자원지도의 비교분석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n Commercial Wind Resource Maps of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풍력보급의 급성장에 따라 풍력자원평가의 핵심자료인 풍력자원지도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업용 풍력자원지도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고가의 상업용 풍력자원지도를 선택하기에 앞서 그 신뢰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을 대상으로 해외 상업용 풍력자원지도 2종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풍력자원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기상통계학적으로 해발고도에 따른 풍속 및 풍력밀도의 상관성, 시계열 풍속분포의 척도인 와이블 형상계수, 연직 풍속분포의 척도인 풍속분포지수 등에 대해 체계적인 일치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상업용 풍력자원지도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Demand for a wind resource map, which is core information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rp expansion of wind energy dissemination worldwide. The global wind resource map as a commercial service also gives the official status fast. Nonetheles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ose high-priced commercial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kinds of commercial wind resource maps of South Korea provided by overseas service companies and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he systematic conformity of the wind resource map is analyzed, such as meteorstatistical correlation of wind power density and terrain elevation, comparison of the Weibull shape factor as a measure of wind speed distribution, wind profile exponent describing the vertical wind profile characteristics, etc.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공간분포 비교분석
    3.2 기상통계 비교분석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현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신재생에너지자원센터) | Kim Hyun-Goo 교신저자
  • 강용혁(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신재생에너지자원센터) | Kang Yong-Heack
  • 윤창열(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신재생에너지자원센터) | Yun Chang-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