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조사 및 사례분석 KCI 등재

Research and Analysis for Developing of Evaluation on the Site Selection of Wind Fa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8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최근 기상학은 사회와 경제,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을 위한 기상기술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특히 풍력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독일과 미국은 고해상도(1km) 풍력자원지도를 개발하여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에 활용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 입지에 적합한 바람은 풍속이 강하다고 이점을 갖는 것이 아니라, 평균 5m/s 이상의 빈도가 높고 풍향도 일정해야 풍력발전의 효율이 높다. 한반도는 전 세계적으로 풍력잠재에너지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입지선정 방법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독일의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국립기상연구소의 풍력-기상자원지도를 활용해 한국형 입지선정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meteorological technologies, such as wind power meteorology, is recently gaining attention due to the increased influence of meteorology on economy, human society,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Germany and United States have developed high-resolution (1km) numerical wind resource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finding potential wind farm sites. In order to fulfill the condition to be a wind farm of high production efficiency, the site needs to have wind faster than 5m/s in annual average with its direction being as constant as possible. Due to relatively smaller potential wind pow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ompared to the global average, larger effort is needed for developing wind farm site assessment tool. This study utilizes the evaluation index developed by the German Meteorological Service and the wind resource map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and present wind farm assessment metho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국내외 풍력발전 관련 산업 및 연구개발 현황
    2.1 국내외 풍력발전 관련 산업 현황
    2.2 국내외 풍력발전 입지 선정 관련 연구개발 현황
3. 자료 및 분석방법
    3.1 자료
    3.2 분석방법
4.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4.1 풍력발전단지 분석 대상 지역 선정
    4.2 풍력발전단지 입지 분석
    4.3 풍력발전단지 전력생산량 산정
5.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송근용(한국기상산업진흥원) | Song Keunyong 교신저자
  • 방철한(한국기상산업진흥원) | Bang Cheol-Han
  • 박영산(국립기상연구소,) | Park Young-San
  • 최영진(국립기상연구소,) | Choi Young-J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