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KCI 등재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 and Liposome Containing Cell Penetrating Pepti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8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및 화장품 성분으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실험 및 제형별 피부 침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118.83 ± 9.39 mg/g,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에서 106.89 ± 4.45 mg/g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500 mg/L 의 농도에서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74.39 ± 7.48%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SOD 유사 활성능은 1,000 mg/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이 91.62 ± 0.43%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후 실험으로부터 항산화, 주름 개선,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배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균 소재로서의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은 Formulation 2(55.45 μ g/cm²), Formulation 1(46.43 μg/cm²), Formulation 0(34.36 μg/cm²)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배나 무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리포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이 Formulation 5(75.01 μg/cm²), Formulation 4(64.01 μg/cm²), Formulation 3(36.60 μg/cm²)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배나무 잎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주름개선의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침투 결과를 통해 향후 화장품 산업에 긍정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skin penetr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kin absorp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s using polymer micelles and their applicability to cosmetic ingredients.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found to be 118.83 ± 9.39 mg/g in Pyrus serotina var leaf ethanol extract and 106.89 ± 4.45 mg/g in Pyrus serotina var leaf hydrothermal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74.39 ± 7.48% of the Pyrus serotina var leaf ethanol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g/L. The SOD-like activity was 91.62 ± 0.43%, the highest value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mg/L in the hydrothermal extract. After the experiment, antioxidation, wrinkle improvement and whitening activity were confirmed, and the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was highly likely to be realized as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material. In the skin penetration experiment with the Pyrus serotina var leaf ethanol extract, the permeation amount of total accumulated tannic acid was found to be Formulation 2 (55.45 μg/cm²), Formulation 1 (46.43 μg/cm²), Formulation 0 (34.36 μg/cm²). In the liposome’s skin penetration experiment containing pear leaf hydrothemal extract, the total amount of accumulated tannic acid permeation was found to be Formulation 5 (75.01 μg/cm²), Formulation 4 (64.01 μg/cm²) and Formulation 3 (36.60 μg/cm²).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tioxidant and wrinkle effects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In addition, as a result of skin penetra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polymer micelles and liposome containing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It will be more usable in cosmetic industr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재료
    2.2. 시약 및 기기
    2.3. 시료 제조
    2.4. 총 polyphenol 함량 측정
    2.5.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2.6. Elastase 활성 저해능 측정
    2.7. Tyrosinase 활성 저해능 측정
    2.8. SOD 유사 활성능 측정
    2.9. 항균실험
    2.10.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 제조방법
    2.11. 경피 투과 실험
    2.12. 입자크기 측정
    2.13.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배나무 잎 추출물의 수율
    3.2. 총 polyphenol 함량 측정
    3.3.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3.4. Elastase 활성 저해능 측정
    3.5. Tyrosinase 활성 저해능 측정
    3.6. SOD 유사 활성능 측정
    3.7. 항균시험
    3.8. 경피 투과 실험
    3.9. 입자크기 측정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안규민(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 전공) | Gyu Min An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majored in Cosmetic Pharmacology, Eulji University)
  • 박수인(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 전공) | Su In Park․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majored in Cosmetic Pharmacology, Eulji University)
  • 김민기(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 전공) | Min Gi Kim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majored in Cosmetic Pharmacology, Eulji University)
  • 허수현(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 전공) | Soo Hyeon Heo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majored in Cosmetic Pharmacology, Eulji University)
  • 신문삼(을지대학교 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화장품약리학 전공) | Moon Sam Shin (Department of Senior Healthcare, majored in Cosmetic Pharmacology, Eulj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