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미백 화합물인 Glabridin (GB)의 피부 관련 연구의 특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분야의 연구 탐색과 산업적 응용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GB의 생물학적 효능 효 과, 피부 미백과 메커니즘, 안정성 및 제품 활용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구글 학술검색과 PubMed 및 KCI를 통해 피부 미용과 직접적인 특성을 다룬 128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GB는 항산화, 항염 등의 효 능으로 피부 미백과 건선, 아토피 등 다양한 피부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이는 여러 신호 전달 경로 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휘되고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와 멜라닌 색소의 감소를 통한 색소 침착 개선의 메커니즘을 갖는다. GB의 안정화와 피부 투과도 개선을 위해 리포좀, 캡슐화, 나노입자, 복합체 등 의 기술이 전략적으로 연구됨으로써 고효율의 제품 개발 가능성이 향상되고 있다. GB의 이러한 피부 미용 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생체이용률이 증가하는 고효율 화장품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국내 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고 간질환 치 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 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 추출은 벌나무 껍질을 사용하 였고 벌나무 70% EtOH 추출물 (ATE)와 벌나무 열수 추출물 (ATW)로 나누어 추출하여 두 추출물의 효능을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 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한 결과 ATE와 ATW 모두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항균 효능 평가 결 과, ATW는 E. coli와 P. aeruginosa에 대해 ATE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으나, ATE는 S. aureus 에 대해 ATW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독성 평가, NO 생성 측정, Western blotting 실험을 진행한 결과 ATE는 6.25 및 12.5 μg/ml에서 세포독성 없이 NO 생성 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cer tegmentosum Maxim.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안한 다.
본 연구는 3차 정제수 (SEW)와 70% 에탄올 (SEE) 용매에 따른 파인애플 세이지 (Salvia elegans Vahl)를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 항균,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EW가 SEE에 비해 더 높았다. SEW와 SEE은 DPPH radical, ABTS+ radical, Hydrogen Peroxide (H2O2)의 소거 활성과 SOD 유사 활성이 보여 농도 의존적으로 높 아졌으며 SEW가 SEE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Elastase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 SEE가 미비한 미백 효능을 보였으며, SEW가 미비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냈다. 항균 효능은 SEW의 경우 대장균, 녹농균, 표피포도상구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 보였으며, SEE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 여드름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항염증 효능은 지질다당류 (LPS)에 의해 염증 이 유발된 RAW 264.7 cell에서 SEE가 SEW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은 SEE가 SEW에 비해 더 높은 감소량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mRNA 발현에서도 SEE가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이는 NO 생성 억제 효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 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SEW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대장균, 녹농균, 표피포도 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보인다. 반면 SEE는 미백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황색포도상구균, 여드 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보이므로 SEW과 SEE는 제약, 건강식품, 화장품 등과 같은 산업원료의 천연소 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화장품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감성 요소를 마케팅의 주요 수단인 광고에 서 찾고자 화장품 광고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광고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인 이미지와 카피 사이의 결속 과 강조 현상을 중심으로 유럽의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소구 전략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우선 화장 품광고에 나타나는 보완적 결속, 강조적 결속, 반복적 결속 등 이미지와 카피의 결속 유형을 파악할 수 있 었다. 다음으로 화장품 광고의 강조적 특징을 강조의 전략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석 을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광고에서 강조되는 신뢰, 기대, 기쁨 등의 감성소구의 요소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들이 갖는 궁극적인 감성 소구 전략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있는 가시박 (Sicyos angulatus L., SA)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항균,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한 후, 에멀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SA는 초순수 (SAW)와 70% EtOH (SAE)로 추출하였다. SAE는 SAW와 비교하 여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에 대한 소거 활성과 SOD 유사 활성이 보여 항산화의 효능이 뛰어 나며,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SAW는 Escherichia coli (E.c), Staphylococcus epidermidis (S.e), Staphylococcus aureus (S.a), Pseudomonas aeruginosa (P.a), Cutibacterium acnes (C.a)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가 없는 반면, SAE는 S.a를 제외한 E.c, S.e, P.a, C.a 균주에서 clear zone이 생성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SAE는 SAW보다 iNOS 및 COX-2의 발현량이 억제됨으로써 NO의 생성량을 억제하여 항염증에 대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SAE을 첨가한 에멀션을 4℃, 25℃, 50℃의 온도에서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고, pH와 점 도는 수치상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입자크기가 대조군 에멀션의 입자와 유사하므로 제형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능성 화장품 연구에 새로운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차원적 배경음악 속성(유형,볼륨,리듬,친숙도)이 소비자의 심리적 정서 및 충 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또는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화장품 매장에서 매출 향상 측면에서 배경음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한 국 오프라인 화장품 매장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한국 및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각 150명의 유효 샘플을 사용하며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경로분석 및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인과관계 및 집단간의 경로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음악의 유형,볼 륨,리듬 및 친숙도가 모두 소비자의 심리적 정서 및 충동구매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 및 중국 소비자의 차이를 보면, 음악의 유형 및 친숙도는 한국 소비자들의 충동구매에 더 큰 영향을 미쳤 으며 음악의 불륨 및 리듬은 중국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화장품 가게 매장에서 배경음악을 사용하여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위를 자극하는 효과를 향상시켜 매장의 매출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의 유효성 실험을 위해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능을 확인하고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SOD-like activity를 진행하였으며 항균 활성 평가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에 대해 생육저 해환과 최소저해농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을 21일 동안 pH, 온도, 일 광에 대한 경시 변화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평가 결과 0.0625-1m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저해환의 경우 100mg/mL 농도에서 각 균의 생육저해환이 10.45±0.34, 9.77±0.59, 9.92±0.22, 10.08±0.12로 대조군인 Methyl paraben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소저해농도의 경우 100mg/mL 농도에서 S. aureus, E. coli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 다. 스킨의 pH 농도가 4.0, 6.0, 7.0에서 흡광도의 변화가 미미하였고, 4℃, 25℃, 40℃에서 온도가 높아질 수록 변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킨을 일광과 실온에서 보관했을 때 일광에서 변색이 일어난 것을 보아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차광하여 저온 보관하면 변색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추 측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화장 품 원료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2022, the domestic production performance of functional cosmetics in South Korea reached 4.6 trillion won, accounting for 33.85% of the total cosmetics production. The number of functional cosmetics reviewed increased by about 7.5% from the previous year, totaling 974 items.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due to skin sensitivity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domestic cosmetic companies are sh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new ingredients and products related to this a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 vitro experi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improving the skin barrier,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cosmetic indus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cademic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efficacy of natural ingredients in improving the skin barrier, bu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kin barrier-improving cosmetic ingredients, efficacy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hyaluronic acid production, expression of filaggrin gene, loricrin, formation of cornified envelope (CE), and expression of ceramide synthesis enzyme genes. Moreover, effective cosmetic ingredients for improving the skin barrier included lemongrass and perilla leaf extracts, flavonoid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Exosomelike Nanovesicles derived from apple callu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Acanthopanax sessiliflorus, 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Acer okamotoanum extracts, Aloe vera adventitious root extract, ethanol extract of Aruncus dioicus, and organic solvent fraction of Dracocephalum argunense.
With the recent surge in YouTube usage,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user-generated videos where individuals evaluate cosmetics. Consequently, many companies are increasingly utilizing evaluation videos for their product marketing and market research. However, a notable drawback is the manual classification of these product review videos incurring significant costs and tim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cosmetics search algorithm to automate this task. The algorithm consists of two networks: One for detecting candidates in images using shape features such as circles, rectangles, etc and Another for filtering and categorizing these candidates. The reason for choosing a Two-Stage architecture over One-Stage is that, in videos containing background scenes, it is more robust to first detect cosmetic candidates before classifying them as specific objects. Although Two-Stage structures are generally known to outperform One-Stage structures in terms of model architecture, this study opts for Two-Stag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raining and validation data that arise when using One-Stage. Acquiring data for the algorithm that detects cosmetic candidates based on shape and the algorithm that classifies candidates into specific objects is cost-effective, ensuring the overall robustness of the algorithm.
곽향은 서양에서 Korea mint라고 불릴 정도로 허브와 쓰임새가 매우 유사하다. 서양의 허브는 화장품의 소재로 많이 사용하지만 곽향은 우리나라에서 약재로 더 많이 사용되어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 성을 비교해보았다. 곽향 추출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과 효모 발효물, 에센셜오일, 플로럴워터에 대한 항산화, 미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균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모든 샘플에서 높은 효과 가 보였고, 미백과 폴리페놀, 항균력에서 에센셜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이런 결과로 에센셜오일이 기능적으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추출물을 가지고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들이 에센셜오일 만큼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 인해 에센셜오일의 적은 추출량에 비해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가 화장품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브로콜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저온(5℃이하), 고 온(50℃이상)의 보관 조건을 통해 화장품 제조 시 나타날 수 있는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변화를 비교 해보고, 브로콜리 추출물 5%가 함유된 크림을 제조하여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 포 테스트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에 대해 확인하고 하였다. 실험 결과, 브로콜리 추출물 1%의 농도 에서 95.5%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보관 조건에도 항산화력 은 높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브로콜리 추출물 5% 함유된 크림에서도 제형의 안정성, 변색 및 변취, pH, 1차 첩포 테스트 모두 안전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들을 통해 브로콜리 추출 물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온도 변화에 따른 항산화력 유지력을 통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가능 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지각이 대학생들의 화장품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요인을 추출하 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요인별 상관관계와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320부를 표본으로 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감염의 두려움, 생활의 변화, 경제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적 구매, 상표 습관적 구매, 합리적 구매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의 변화가 많을수록 경제적 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상표 습관 적 구매, 합리적 구매 행동이 높아졌다. 감염의 두려움은 상표 습관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감염의 두려움과 생활의 변화는 합리적 구매 행동에 영향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 brand engagement (CBE) signals propensity for brand purchase. A scale proposes three dimensions of CBE (i.e., cognitive, affective and activation dimensions) but the dimensions prominent and driving brand purchase intentions in an Instagram cosmetic purchase context need examin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tests Hollebeek, Glynn and Brodie’s (2014) 10-items/3 dimensions scale and examines an outcome of cosmetics brand purchase intention on Instagram. Data was quantitatively collected from 203 consumers who were students and non-students using convenience and snowballing non- probability sampling meth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although the three CBE dimensions were identified in a Cosmetic Instagram purchase context, it was the affective and activation dimensions that positively predicted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smetic brands after engaging with the brand on Instagra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세리신은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누에고치에서 유래된 세리신 표준품의 항주름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리신의 항산화 효과는 DPPH 및 ABTS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서 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lipoplyscaccharide를 이용하여 유도된 염증반응을 이용하여 세리신의 항 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리신은 DPPH, ABTS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1,000 μg/mL의 농도에서 NO를 억제하였다. 종합하여 세리신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항노화 및 항 염증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하 였고, TEAC assay를 이용한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DCF-DA를 통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positive control(양성대조군)로 이용한 trolox와 0.1 mg/mL 농도에서는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CFDA를 통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α-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의 e-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총 210부를 수집하여 통계패키지 SPSS 25.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O2O 화장품 배 달 서비스 앱 e-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효율성, 주문이행성, 시스템이용가능성, 프라이버시 모두 만족과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 역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만족과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이용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가 O2O 화장품 배달 서비 스 앱을 이용하는 동안 빠른 접속과 끊김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 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Nanosized rutile titanium dioxide (TiO2) is used in inorganic pigments and cosmetics because of its high whiteness and duality. The high quality of the white pigments depends on their surface coating technique via the solgel process. SiO2 coating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UV-blocking, and whiteness of TiO2.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is an important coating precursor owing to its ability to control various thicknesses and densities. In addition, we use Na2SiO3 (sodium silicate) as a precursor because of its low cost. Compared to TEOS, which controls the pH using a basic catalyst, Na2SiO3 controls the pH using an acid catalyst, giving a uniform coat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iO2 is controlled using a surface modifier, cetrimonium bromide, which i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nanosized coating layer on TiO2 are analyz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the SiO2 nanoparticle behavior in terms of the before-and-after size distribution i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The color measurements of the SiO2 pigment are performed using UV-visible spectroscopy.
본 연구는 장흥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한 총 3가지 식물을 수증기 증류 추출(편백, 석창포, 라벤 더)을 통해 얻은 각 천연 에센셜 오일에 대한 GC-MSD 향기 성분 분석 후 추출된 오일들과 시판 오일(클 라리세이지, 시나몬, 프랑킨센스)을 조합하여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 미백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 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 편백 오일의 주요 성분으로는 Sabinene, 석창포 오일은 Asarone, 라벤더 오일은 L-Linalool이 동정되었다. 6종 에센셜 조합 오일의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100 μL/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은 27.76% 억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9.69%, ABTS 라디칼 소거 능은 94.66%,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55.9%를 보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