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MTIC for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8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유사실험 연구이다. J-do, J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가정 내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8명이었으며,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 주 2회(1회 60분), 10회기 동안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왜도와 첨도,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t-test로 분석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우울 점수는 감소하였다.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향상 및 우울 감소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a non-equivalence comparison group to investigate an effect of adaptation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MTIC (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on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 to August 31, 2016.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MTIC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sessions (twice a week, 60minutes), participants were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experimental group = 28, control group = 28) live in J city. The effec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ell-being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ly improved, depression had noticeably decreased with the program. Therefore, It is shoul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MTIC will be used for effective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2.6. 자료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
    3.3.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행미(정읍시정신건강복지센터) | Heang-Mi Kim (Jeongeup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 채명정(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Myeong-Jeong Chae (Department of Nursing, Kwangju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