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체 국유림에 대한 경영이력 및 경영계획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국유림경영정 보시스템이 관련 법령(국유림경영계획 작성 및 운영요령)의 변경에 따라, 개정 전에는 평균 흉고직경 값만 입력하도록 구축되어 있으나 개정 후에는 평균 흉고직경,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기 구축되어 있는 모든 흉고직경값을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추정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12개 주요 수종에 대한 최저·최고 흉고직경을 자동으로 표기할 수 있는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5∼6차(2006∼2015년)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의 6,858개 고정표본점 자료를 이용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 도출을 위하여 흉고직경, 임령, 수고의 3가지 생장변수를 이용한 흉고직경-임령, 흉고직경-수고의 2가지 추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모형은 흉고직경과 수고 변수를 이용한 추정식 Dmin=a+bD+cH, Dmax=a+bD+cH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주요 수종의 최소 최대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containing the management record and planning for the entire national forest in South Korea by an amendment of the relevant law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and methods, Korea Forest Service), in this study, average, the maximum, and the minimum values for DBH were presented while only average values were required before the amendment. In this regard, there is a need for an estimation algorithm by which all the existing values for DBH established before the revision can be converted to the highest and the lowest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stimation equation to automatically show the minimum and the maximum values for DBH for 12 main tree species from the data in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develop the estimation equation for the minimum and the maximum values for DBH, there was exploited the 6,858 fixed sample plots of the fifth and the sixth national forest inventory between in 2006 and 2015. Two estimation models were applied for DBH-tree age and DHB-tree height using such growth variables as DBH, tree age, and height, to draw the estimation equation for the maximum and the minimum values for DBH.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ost suitable model to estimate the minimum and the maximum values for DBH was Dmin=a+bD+cH, Dmax=a+bD+cH with the variables of DBH and height. Based on these optimal models, the estimation equation was devised for the minimum and the maximum values for DBH for the 12 main tre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