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유림 공동산림사업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nalysis on the Status of Joint Forestry Project in National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9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제도 중 하나인 공동산림사업의 실태분석을 위해 참여형 산림관리 원칙인 이해 관계자의 참여, 의사결정의 투명성, 행위자와 이해관계자의 책무성을 이용하여 공동산림사업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Likert 5점 척도와 기입식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해관계 자 참여(10문항) 항목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평균 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분쟁 및 갈등 해결 구조 구축이 2.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투명성(7문항)은 사업에 대한 정보공개가 3.4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보공유, 교육·홍보활동이 2.7점으로 분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책무성(7문항)에서는 공동사업수행자의 자세한 역할규명 여부가 3.3점,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함께 사업에 대한 내·외부 모니터링 및 평가 여부가 2.7점으로 분석되었다. 참여형 산림관리 지표를 통해 분석된 본 연구결과는 추후 국유림 참여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joint forest project, which is one o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by using stakeholder participation, transparency of decision making, accountability of actors and stakeholde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5 - point scale and the written form.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various stakeholder participation items had the highest opportunity to participate with an average of 3.3 and the lowest score with 2.3 points for establishing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structures. Transparency was analyzed to be 3.4 points for the project disclosure, 2.7 point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education promotion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3.3 points for the detailed role of the project implementer, and 2.7 points for internal and external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project with various stakehold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zed through the participatory forest management index, are deem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national forest participation management.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공동산림사업 현황
    2 인구통계학적 특성
    3 이해관계자의 참여(Participation)
    4 의사결정의 투명성(Transparency)
    5 행위자와 이해관계자의 책무성(Accountability)
    6 만족도 조사(Satisfaction)
References
저자
  • 김동현(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일반대학원 생태환경시스템학과) | Dong-Hyeon Kim (Department of Ecology and Environment System,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고치웅(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Chi-Ung Ko (Division of forest Industry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동근(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Dong-Geun Kim (Department of Ecology and Environment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