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fractive Error and Correction of Secon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eongsan-si, Gyeongbuk KCI 등재

경북 경산지역 2학년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및 안경교정 상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경북 경산시 내외의 2학년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와 교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2015년 경산교육지원청 주관 ‘밝고 투명한 아이(eye)만들기’사업의 2차 사업으로 경산지역 전체 초등학교 31개교 중 27개교가 참여한 2학년 초등학생 1,662명(3,324안)을 대상으로 굴절상태와 안경착용 상태를 검사하였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등가구면굴절력을 기초로 굴절이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검사에 참여한 전체 초등학생 1,662명 중 207안(6.23%)이 정시, 3,117안(93.77%)이 평균 –1.01±1.32 D의 비정시로 나타났으며, 비정시중 근시성이 2693안으로 평균 –1.27±1.19 D 그리고 원시성이 424안으로 평균 0.62±0.79 D이었고, 근시안과 원시안의 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각각 81.02%와 12.75%를 보였다. 이 비정시안 들 중 454명(27.31%)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655안(19.70%)이 시력 0.7 이하로 교정이 필요한 상태였다. 지역 간 비교에서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도는 각각 –1.01±1.35 D와 –0.87±1.23 D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p<0.010, t=-3.06)를 보였다. 근시성 굴절이상의 비교에서는 도시지역은 -1.32±1.23 D, 농촌지 역은 –1.20±1.14 D로 도시지역 학생들이 더 많은 근시성 굴절이상을 갖고 있었지만(p<0.010, t=2.74), 원시성에 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0, t=1.71). 안경착용은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이 농촌지역 학생들 비해 5.78% 정도 더 많은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p=0.001).
결론 : 굴절이상의 변화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저학년만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서 도시와 농촌 지역에 관계없이 근시가 주된 굴절이상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초등학생 근시의 변화 추적 및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fractive and correction states of second-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d around Gyeongsan-si, Gyeongbuk
Methods : As the 2nd project of 'Making Bright and Clear Eyes' sponsored by Gyeongsan Office of Education supporting the 1st project in 2015, second-year 1,662 people(3,324 eyes) of 27 of 31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 area participated to go through examination of their refractive and wearing glasses conditions. Refractive erro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equivalent spherical equivalent power,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Results : It was shown that 207 eyes(6.23%) were emmetropic and 3,117 eyes(93.77%) were ametropic(-1.01±1.32 D on average) in 1,662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of ametropes 2,693 eyes were myopic(–1.27±1.19 D on average) and 424 eyes(0.62±0.79 D on average), showing 81.02% and 12.75%, respectively. Of these, 454 eyes(27.31%) were wearing glasses, and 655 eyes (19.70%) had a visual acuity of less than 0.7 and needed correction. In the regional comparisons, the refractive errors of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1.01± 1.35 D and –0.87± 1.23 D, respectively (p<0.010, t=-3.06). In the comparison of myopic students, urban students had -1.32±1.23 D and rural areas had –1.20±1.14 D(p<0.010, t=2.74),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hyperopic students. In the rate of wearing glasses, 5.78% of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e more glasses than rural students(p=0.001).
Conclusion :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ly in the lower grade, an important period for the change of refractive error, myopia was the main cause of refractive error regardless of urban and rural region, and in future continuous research and countermea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참여대상
    2. 검사 및 방법
Ⅲ. 결 과
    1. 전체 초등학생 굴절 및 안경착용 상태
    2. 도시지역 초등학생
    3. 농촌지역 초등학생
    4.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 굴절상태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Ki-Seok Lee(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기석
  • Ji-Won Jung(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