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ccommodative Changes with Center-Near Multifocal Contact Lenses in Young Adults with Accommodative Infacility KCI 등재

조절용이성 부족 젊은 성인에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절기능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젊은 성인 근시안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고 근거리 작업 후 조절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 총 31명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조절용이성에 따라 조절용이성 부족군과 정상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자에게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중간가입도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7일 이상의 적응기간이 경과한 후 검사를 하였으며, 조절부담을 유도하기 위하여 단초점 또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30분간 시청하도록 한 후 조절기능은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버전스용이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 중 24명은 조절용이성 정상군, 7명은 조절용이성이 부족군이었다. 조절용이성 부족군의 경우 근거리 동영상 시청 후 조절근점은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시청 전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폭주근점은 단초점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보다 짧아졌고 영상 시청 전보다도 짧아졌으며(p=0.009), 조절용이성은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시보다 증가하였고 근거리 영상 시청 전보다도 증가하였다(p=0.004).
결론 : 중간가입도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조절용이성이 부족한 젊은 성인의 조절기능을 개선시켜 조절 부담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near works in young myopes with accommodative infacility fitted with center-near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Methods : Thirty-one soft contact lens wearers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to the accommodative infacility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accommodative facility. Subjects were fitted with single vision contact lenses (SVCLs) and center-near mid-add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MFCLs). In case of MFCLs wearing, accommodative functions were measured after more than 7 days of adaptation.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near point of convergence, accommodative facility and vergence facility were measured after watching video using a smartphone for inducing accommodative burden for 30 minutes. Results : Among the subjects, twenty-four were normal in accommodative facility and seven were accommodative infacility. In young adults group with accommodative infacility, th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fter watching vide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SVCLs(p=0.012) and no difference with MFCLs compared with before watching video. And the near point of convergence with MFCLs after watching video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with SVCLs, and shorter than before watching video(p=0.009), and accommodative facility with MFC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compared with SVCLs, and higher than that of before video watching(p=0.004). Conclusion : The med-add center-near MFCLs enhance accommodative function that could be effective to alleviated accommodative burden for the young adults with accommodative infacilit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재료
    2. 검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
    2. 조절근점
    3. 폭주근점
    4. 조절용이성
    5. 버전스용이성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Hyo-Seung Jang(다비치안경체인 암사시장앞점) | 장효승
  • Koon-Ja Lee(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