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very Tendency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
주지하듯이 기존의 한국 문인화에 대한 연구는 미술사가나 미술평론가들이 고전 자료를 중심으로 한 화론적(畫論的)인 내용이나 한국 현대문인화의 문제점 분석 등 관념적인 내용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 현대문인화의 본질(本質)을 중시하는 관념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논자가 미술현장에서 직접 체험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문인화의 실존(實存)을 통한 한국 현대문인화를 전통적 경향과 현대적 경향의 작품으로 분석하여 한국 현대문인화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엄밀하게 말해서 작품의 성향을 규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오해의 가능성이 크다. 또 같은 작가라고 해도 각각의 작품의 내용과 방향성은 세부적인 면에서 큰 차이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대문인화를 전통적 경향과 현대적 경향으로 나누어 구분할 것이다. 구체성에서 멀어진 대신 지극히 단순함이 갖는 이점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문인화를 구조적으로 개괄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작품들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한국 현대문인화에 대한 기본 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As is widely known, established studies on Korean literati painting have been mostly on ideational contents pertaining to painting theories or problems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 based on classical materials by art historians or art critics. Therefore, this thesis is intended to analyze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 through works either in the traditional tendency or the modern tendency, anchored in its writer’s firsthand experience on the spot of art. It also tries to explore Korean literati painting’s new possibility of development, departing from any ideational content that puts emphasis on the nature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 n Strictly speaking, it is not easy to define one’s art or his or her inclination and that can often be misunderstood. Even though works are produced by the same artist, they have a big difference in their content and directivity in terms of detail aspects. This study, however, classifies contemporary literati painting into traditional and modern tendencies despite this risk. This is why this extremely simplified classification brings about some advantage while growing away from concreteness. The fundamental frame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 that is inaccessible due to a body of work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structural, comprehensive overview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i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