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미세지형별 생태적 특성 KCI 등재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Topographies of Beech forest in Ulleung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동태변화를 통한 유지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봉분지에서 성인봉 사이 소능선부, 사면상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1ha(20m×20m, 25개소)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중요치, 종조성 분석을 통해 미세지형별 너도밤나무림의 임분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너도밤나무림 전체에서 흉고직 경급 10cm 미만에서는 소능선부와 사면상부가 계곡부에 비하여 개체수가 많이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10-25cm에서는 소능선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흉고직경급 25-45cm에서는 사면상부, 45cm 이상의 계곡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모든 지형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의 너도밤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은 종자번식이 아닌 영양번식 또는 교란에 의한 맹아갱신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종 분석결과 소능선부에서는 솔송나무, 만병초, 호자덩굴, 섬벚나무, 마가목, 큰두루미꽃 등 8종이, 계곡부에서는 풍게나무, 관중, 난티나무, 섬노루귀, 말오줌나무, 큰연영초, 공작고사리, 황벽나무 8종이 유이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long-term changes to beech forest due to climate change in Ulleung-do. To study the traits of the stand structure of beech forest with micro-topograph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basal area, important values, and indicated species in a small ridge between Albong basin and Seongin-bong peak, and 1-ha stands (20 m × 20 m, 25 sites) dominated beech species including on the upper slope and valley par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dicator species characterizing the vegetation communities were Tsuga sieboldii,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Mitchella undulata in the small ridge and Celtis jesso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and Ulmus laciniata in the valley part. Moreover, the individuals with the total DBH < 10 cm were more predominant in the small ridge and upper slope than in the valley part, the individuals with DBH = 10–25 cm were predominant in the small slope, and individuals with DBH = 25–45cm and DBH > 45 cm were predominant in the upper slope. The reason for the predominant distribution of beech stand with DBH<10 cm in all terrains is suggested to be germination by nutritional propagation rather than secondary succession caused by artificial disturbances and seed propag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야외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흉고직경급 구조
    2. 중요치
    3. 지표종
REFERENCES
저자
  • 한상학(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Sang-Hak Ha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Weon Yu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송주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u-Hyeon Song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호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o-Jin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정은(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eong-Eun Lee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윤이슬(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I-Seul Yu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유윤서(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Yoon-Seo Yoo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상훈(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Sang-Hun Le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