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근로자의 경력개발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the Development of a Female Worker's Caree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i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974
  • DOIhttps://doi.org/10.26734/JFE.2020.10.0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경력개발에 있어 조직의 지원과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특히 이 연 구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조직의 지원이 인간의 배움력을 통해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구축한 여성관리자패널조사의 2016 년 6차 조사 자료를 활용 최종 589명의 응답을 토대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 내에서 여성근로자의 경력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나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구성원들로 하여금 업무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직의 제도적 지원, 조직의 심리적 지원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의 제도적 지원, 조직의 심리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차원의 심리적 지원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확인한 결과, 이들 간의 관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조직 내에서 지속적으로 경력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인변수인 교육훈련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상사의 심리적 지원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 해, 여성근로자의 경력이탈에 대한 문제인식이 커지는 현 상황에서 구성원의 경력성공을 지원하기 위한 기업의 지원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career success.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d the mediate effect of the self-efficacy of female worker individuals and confirme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career success through learning.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final 589 respondents using the data from the sixth survey of 2016 by the Korea Women's Management Panel Survey establish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KWDI).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institutional or psychological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workers within the organiz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eco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sychological support of the organization, were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institu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mmitment for career development. Fourth,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Finally, after checking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both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a cause variable that supports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within the organization, and psychological support from the bo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process, we hope that it will help set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the company to support the members' career developmen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problem perception of female workers' deviations is growing.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지원(제도적, 심리적)인식과 주관적 경력성공
    2. 조직지원(제도적, 심리적)인식과 자기효능감
    3. 자기효능감과 경력성공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응답자 특성
    2.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최종모형 선정
    3.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4. 변수들 간의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수연(덕성여자대학교 교육혁신연구센터) | Sooyeon Lee
  • 김효선(경기대학교 융합교양학부) | Hyosun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