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靑銅器時代 智佐里遺蹟의 樣式編年 -聚落考古學의 基礎硏究- KCI 등재

A Style Chronology of the Bronze Age Jijwa-ri Site -A Foundational Research of Settlement Archaeology-

청동기시대 지좌리유적의 양식편년 -취락고고학의 기초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254
  • DOIhttps://doi.org/10.15397/JKBC.2019.2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취락고고학에서 주거지의 동시성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유물 과 유구를 총망라한 양식 편년만이 유일한 방법이다. 기존의 토기의 문양이나 주거지의 형식을 통하여 청동기시대의 시기와 단계를 설정하였던 관습에서 벗어나 문양, 무문토기 壺, 淺鉢, 적색마연토기의 壺ㆍ甕ㆍ鉢, 內彎口緣甕, 底部의 두께, 胴 下半部 의 傾斜度 등의 器形과 또 석촉과 有溝石斧, 반월형석도, 방추차 등의 형태적 차이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와 수혈에서의 공반상을 통하여 순서배열보충법으로 양식을 편년하였다. 그 결과 110개의 유구에서 51단계의 시간적 차이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단계는 너무 세분된 편년이라 취락의 변천 과정을 살피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각 단계에서 새로운 형식이 출현하는 경향을 살펴 9단계의 획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점토대토기 단계에 발견할 수 있는 유물들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점토대토기 단계 직전의 재지계 유물의 변형으로서 先粘土帶土器文化(청동기시대 晩 期)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 획기를 통하여 지좌리유적의 취락상은 협곡에 입지한 주변 취락으로 타 공동체와의 교류가 적어 전통문화의 존속기간이 긴 다소 폐쇄적인 성격을 밝힐 수 있었고, 청동기시대 전기ㆍ후기ㆍ만기의 문화가 혼재함을 알 수 있었다. 지면 관계상 차후에는 이 편년을 이용하여 지좌리유적 Ⅰ~Ⅸ기(기원전 1100년~550년 전후)의 취락 변천 과정을 살펴서 그 시대상을 복원하고자 한다.

It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settlement archaeology to discover synchronism within dwelling sites under research. The only method archaeologists could use for it is style chronology for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artifacts discovered from the sites.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chronology based on pottery patterns and forms of dwelling, this research sorted out the artifacts according to their various morphological differences: such as pottery patterns, patternless vessels, shallow bowls, red grinding pottery with different shapes (of vessel, crock, and bowl), crocks with inner-curved edges, thickness of bottom, shapes of potteries such as slopes of bronze lower-halves, and shapes of flit arrowheads, ditch stone axes, half-moon shaped stone knives, and spindle whorls. The style chronology was completed by the seriation of artifact assemblages discovered from dwelling sites and underground shacks. As the result, 51 diachronic stage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110 remains. However, these stages were too subdivided to be used for examin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settlement. Another stagesⅠ~Ⅸ were thus derived from different ways in which new types of artifacts were appearing in each of 51 stages. Some artifacts common in the Iron Age were also excavated and taking these as variations of indigenous artifacts righ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Iron Age makes i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remains were belonging to the pre clay-strip pottery culture, a terminal period of the Bronze Age. From this way of determining a period, Jijwa-ri site is inferred to be once forming a settlement near a canyon, relatively closed to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thus in a relatively good condition for preserving its traditional culture--characterized by its having the features of early, late, and the end of the Bronze Age simultaneously--for a long time. Based on this chronology, the future research would reconstruct the overall process of the settlement in Jijwa-ri site from its stage I to stage IX (BCE 1100~550).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遺物의 分類
    1. 壺
    2. 淺鉢
    3. 赤色磨硏兩耳附甕
    4. 典型赤色磨硏壺
    5. 內彎口緣甕
    6. 無文土器 壺ㆍ深鉢의 胴體
    7. 土器 底部
    8. 石鏃
    9. 有溝石斧
    10. 石刀
    11. 土製紡錘車
Ⅲ. 順序配列補充法을 통한 樣式編年
    1. 編年을 위한 分析
    2. 劃期의 設定
Ⅳ. 樣式編年의 檢討
    1. 智佐里遺蹟의 特質과 先粘土帶土器文化
    2. 樣式編年의 解釋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安在晧(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안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