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류 중 소비량이 높은 굴에서의 고병원성 Vibrio균(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남해권역, 서해권역, 수도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굴 88개를 채취하여 V. vulnificus 와 V. cholerae의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생굴에서의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생장 경향을 관찰하였다. 2017 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굴의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생굴 섭취로 인한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RISK를 통해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88개의 생굴에서 V. vulnificus와 V. cholerae는 검출되지 않아 Beta distribution과 자연로그를 이용한 식을 통해 초기오염수준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두 세균 모두 -3.6 Log CFU/g으로 생굴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생굴에 bioaccumulation된 V. vulnificus와 V. cholerae는 생장하지 않고 초기 접종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굴을 섭취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7,167명 중 25명이었으며, 따라서 섭취자 비율은 0.35%로 나타났다. 섭취량에 대한 최적확률분포는 exponential distribution으로 나타났으며 생굴의 평균 섭취량은 66.8 g으로 확인되었다. V. vulnificus와 V. cholerae의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model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해평가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초기오염수준으로 오염된 생굴을 바로 섭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 발생 가능성은 V. vulnificus의 경우 평균 9.08×10-15, V. cholerae는 8.16×10-13이며, 섭취자 비율이 식중독 발생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caused by raw oyster consumption contaminated with high risk Vibrio species such as V. vulnificus and V. cholerae. Eighty-eight raw oys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 coast, west coast and Seoul areas, and examined for the prevalence of high risk Vibrio species. The growth patterns of V. vulnificus and V. cholerae in raw oysters were evaluated, and consumption frequency and amounts for raw oyster were investigated from 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ith the collected data, a risk assessment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caused by intake of raw oysters, using @RISK. Of 88 raw oysters, there were no V. vulnificus- or V. cholerae-positive samples. Thus, initial contamination levels of Vibrio species in raw oysters were estimat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developed by Vose and Sanaa, and the estimated value for the both Vibrio spp. was -3.6 Log CFU/g. In raw oyster, cell counts of V. vulnificus and V. cholerae remained unchanged. The incidence of raw oyster consumers was 0.35%, and the appropriate probabilistic distribution for the consumption amounts was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A risk assessment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obability of the foodborne illness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raw oyster was 9.08×10-15 for V. vulnificus and 8.16×10-13 for V. cholerae. Consumption frequency was the first factor, influencing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