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지외 보전을 위한 꼬리말발도리의 생장 및 생리 특성 KCI 등재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uzia paniculata for Ex Situ Conser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1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산림 식생은 수관층의 종류와 밀도에 의해 하층식생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꼬리말발도리 개체군의 수관열림도 차이에 따른 개체의 생장(생장량, 엽면적당 질량[Leaf Mass per Area], 엽면적) 및 생리적 특성(SPAD값, 엽록소량, 광합성)을 조사하고, 향후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구는 꼬리말발도리 자생지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국립수목원 내 수관열림도 차이가 보이는 3개 조사구(site 1, 2, 3)를 정하고, 꼬리말발도리 자생지(군위)에 1개 조사구(site 4)를 대조구로 하였다. 각 조사구의 광량, 지온 및 온도는 수관열림도와 비례하였으며, 토양습도 및 공중습도는 수관열림도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구별 평균 초장(cm)은 조사구마다 차이를 보였고, 엽면적은 수관열림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사구에서 높았으며, LMA는 수관열림도가 높은 Site 3에서 높게 나타났다. 도입 개체는 수관열림도 차이에 따라 적절한 광적응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8월에 측정한 엽록소 a+b의 함량은 Site 4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록소 a/b는 Site 3에서 가장 높았다. 꼬리말발도리의 조사구별 광합성 속도는 Site 2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Site 4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 외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개체 특성 간 상관 분석 결과, 엽면적과 광량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희귀식물 꼬리말발도리의 대체서식지 조성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vegetation in forests is known to b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type and density of canopies, which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plants below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lant grow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canopy openness conditions of Deutzia paniculata which is designated as a rare plant by Korean Forest Service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habitat replacements. The areas were composed of three sectors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ith different canopy opennes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of D. paniculata (site 1, 2, 3), with one survey area (site 4) in a habitat of D. paniculata (Gunwi)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transmitted light, soil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increased proportionately to the canopy openness, while the soil humidity and air humidity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anopy openness. The average plant height (cm) was different for each site, and the leaf area was high at sites with relatively low canopy openness, and LMA was high at sites with high canopy open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roduced plants showed a phenomenon of proper photoadap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anopy openness. The value turned out to be highest in August. Also, the Chlorophyll a+b value of D. paniculata was the highest in Site 4, while Chlorophyll a/b was the highest in Site 3. The photosynthetic rate of D. paniculata was the highest in Site 2 and the lowest in Site 4. Additionally,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showed a similar trend with above the results, as well.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area and light quant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for rare plant D. paniculata.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및 조사지 현황
    2. 생장특성
    3. 생리적 특성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조사지 현황
    2. 생장특성 차이
    3. 생리적 특성 차이
    4. 상관관계 분석
References
저자
  • 정지영(국립수목원) | Ji-Young Jung (Korea National Arboretum)
  • 손성원(국립수목원) | Sung-Won Son (Korea National Arboretum)
  • 손오경(국립수목원) | O-Gyeong Son (Korea National Arboretum)
  • 피정훈(국립수목원) | Jung-Hun Pi (Korea National Arboretum)
  • 박정근(국립수목원) | Jeong-Geun Park (Korea National Arboretum)
  • 서강욱(국립수목원) | Gang-Uk Suh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한결(국립수목원) | Han-Gyeoul Kim (Korea National Arboretum)
  • 박완근(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Wan-Geun Park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철호(국립수목원) | Cheul-Ho Lee (Korea National Arboretu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