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양호 동∙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동 KCI 등재

Seasonal Dynmic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oy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소양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적 천이는 1996년 에 Asterionella → Peridinium → Anabaena의 순서이었고 1997년과 1998년에는 Asterionella → Cryptomonas → Anabaena로 천이양상이 바뀌었다. 면적당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규조류의 spring bloom시에 가 장 많았으며 늦여름에는 Anabaen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6년에서 1998년으로 해가 지날수록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의 Eodiaptomus, Cyclops, Diacyclops, 지각류의 Bosmina, Daphnia, 윤충류의 Polyarthra, Keratella 속의 종들이 계절에 따라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요각류의 현존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봄에 규조류의 생체량이 높은 시기보다 2~3개월 후인 6월말부터 7월에 걸쳐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았고 이때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월 전후에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아졌는데 이 때는 남조류의 우점 시기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보아 남조류는 동물플랑크톤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식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봄의 규조류 증식 초기에는 bottom-up 효과가 우세하였고 이후에는 동물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억제하는 top-down 효과가 우세하였으며, 남조류 번성기에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먹이 연쇄의 기능적 연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는 미생물먹이망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on the weekly basis from 1996 to 1998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in 1996 was Asterionella → Peridinium → Anabaena, whereas it was Asterionella → Cryptomonas → Anabaena both in 1997 and 1998.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integrated vertically was highest at the diatom blooms during April and May, whereas standing crop in the surface layer was highest at the cyanobacterial blooms during August and September, because cyanobacteria had buoyancy and floated toward surface. Zooplankton standing crop was high in warm season and dropped to nearly zero in winter. Copepods were dominant zooplankton, and cladocerans and rotifers were subdominant. The increase of zooplankton following after diatom blooms suppressed phytoplankton density eff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clear water phase, whereas in cyanobacterial bloom seasons both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bloomed together, implying that cyanobacteria are not grazed effectively by zooplankton. In conclusion bottom-up effect dominated in the early stage of spring diatom blooms, and top-down control dominated in the subsequent clear water phase, and finally in late summer, trophic coupling between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was not significant, implying the possibility of dominating the microbial food web.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요 및 시료채취
    2. 생체량 산정
결과 및 고찰
적 요
참 고 문 헌
저자
  • 김범철(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Kim Bomchul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재옥(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Jae-Ok Kim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전만식(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Man-Sig J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황순진(경기개발연구원 수질환경연구소) | Soon-Jin Hwang (Water & Environment Research Center, Kyonggi 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