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하수 세균 군집의 탄소원 기질 이용능 변화 KCI 등재

The Changes of Carbon Sources Utilization Patterns in the Groundwater Bacterial Commun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서울시 지하수중 중금속 등으로 오염되어 음용 이외의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8개 정점과 음용수로 사 용하고 있는 2개 정점을 대상으로, 세균 군집 대사 다양성의 변화를 유일 탄소원 이용능의 변화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Biolog GN plate에서 발색 반응이 안정화된 배양 시간은 155시간 이후로 나타났다. 음용수로 사용하는 정점이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정점의 발색 반응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하수 세균 군집은 polymer, carbohydrate, ester 및 amino acid를 공통적으로 많이 이용하였으나, brominated chemicals과 phosphorylated chemicals를 이용하는 세균 군집은 적게 나타났다. 다변량 통계학적 분석을 통한 세균 군집의 대사 다양성 분석 결과, 모두 5개 그룹인 음용수 정점, 휘발성 오염 정점, 크롬 오염 정점, 질산성 질소 오염 정점과 비소 오염 정점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오염물질에 따른 세균 군집의 탄소원 이용능의 차이로 볼 때, 오염원에 따라 세균 군집의 대사 다양성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etabol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with the basis of carbon source utilization in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o sites used for drinking water source and eight sites polluted with heavy metal from the wastewater in Seoul city. Color development value in a Biolog GN plate was obtained in 155 hour after incubation as an optimum incubation time. Drinking groundwater samples showed greater utilization of carbon source than waste groundwater samples by bacteria. Groundwater bacterial communities showed a large degree of utilization in polymer, carbohydrate, ester, and amino acid, but low both in brominated and phosphorylated chemicals.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es separated five distinctive groups on the ordination space; group 1 (drinking groundwater), group 2 (trichloroethylene and perchloroethylene), group 3 (chrome), group 4 (nitrate), group 5 (arsenic). From the result, it was supposed that various pollutants were affected on metabol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료채취
    2. BIOLOG system의 응용
    3. 통계 분석
결 과
    1. BIOLOG plate의 발색 반응 (rate colordevelopment) 변화
    2. 대응분석
    3. 다차원 척도법 분석
    4. Cluster 분석
고 찰
적 요
참 고 문 헌
저자
  • 안영범(한양대학교 생물학과) | Ahn Young-Beom (Department of Biology, Hanyang University)
  • 김여원(한양대학교 생물학과) | Yeo-Won Kim (Department of Biology, Hanyang University)
  • 이대영(한양대학교 생물학과) | Dae-Young Lee (Department of Biology, Hanyang University)
  • 민병례(상명대학교 생물학과) | Byung Re Min (Department of Biology, Sangmyong University)
  • 최영길(한양대학교 생물학과) | Yong- Keel Choi (Department of Biology,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