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紅島偵探記」 硏究 KCI 등재

A Study on the Hongdo-jeongtamgi(紅島偵探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18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4.12.30.2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1746년(영조 22) 지금의 블라디보스토크에 해당하는 紅旗浦와 紅島 일대를 정탐한 「紅島偵探記」에 대하여 정탐을 하게 된 배경과 정탐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정탐의 배경으로는 영조 22년에 청나라와의 압록강 국경 지대에서 발생한 莽 牛哨設訊과 退柵에 의한 국경선의 설정 문제, 그리고 당시 북방에 거주하던 磴 磴磯가 침입할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보다 많 은 정보를 얻기 위해 영조는 校理 嚴瑀를 北關御使로 파견하고, 嚴瑀는 南濟極 등 27명을 두 차례에 걸쳐 紅旗浦와 紅島 일대로 보내 정탐을 해오게 한다. 그 과정에서 磴磴磯에 대한 여러 정보와 함께 당시 청나라가 진행하고 있던 蔘 偸 採者의 단속에 의한 유민의 발생과 紅旗浦와 紅島 일대로 도망한 漢人 토벌의 규모와 양상을 정탐하는 데 성공한다. 嚴瑀는 정탐의 결과를 영조에게 보고하고, 영조를 비롯한 조정에서는 당시의 이러한 정황과 지리적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磴磴磯에 대한 논의는 일단락된다.
정탐이 끝난 뒤에 영조는 해당자들에게 포상을 하고, 다음해인 1747년에 청 나라에서는 磴磴磯에 들어가 14년을 살았던 두 조선 여인을 잡아 한양으로 보내오는데, 형조에서 심문한 다음 섬으로 유배를 보낸다. 또한 이 정탐의 결과 얻어진 지리 정보는 『海東地圖』의 「西北彼我兩界全圖」를 제작할 때에 거의 그대 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당시의 정탐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紅島偵探記」는 다음의 몇 가 지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1) 당시 급박하게 진행되었던 莽牛哨設訊과 退柵 문제, 磴磴磯 침입의 위기의 식을 정탐이라는 방법으로 극복하고자 한 노력과 정보 취득 과정을 알 수 있다.
2) 조선시대에 다양하게 전개한 정탐 활동의 진행 과정과 방법, 운용 인원, 정탐 노정, 정탐시에 만났던 사람들, 정탐지의 지리적 정보 등의 제반 사항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규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3) 지명은 물론 인문 지리적 정보, 언어와 풍속 등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을 연구하는 주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과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 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the background and details of espionage on the Hongdo-jeongtamgi(紅島偵探記), written in 1746(Yongjo 22), which is record in Honggipo(紅旗浦) and the area of Hongdo(紅島) that correspond to Vladivostok are recorded. The background of espionage were the matter of establishing the border line designated by Mangucho-seolsin(莽牛哨設訊) and Toechaek (退柵) in the Yalu River[鴨綠江] border with the Qing(淸) Dynasty, and the sense of crisis that the Deungdeunggi(磴磴磯), then residing in the north, might break in. In order to get more information on these issues, King Yongjo(英祖) dispatched Kyori(校理) Eom Woo(嚴瑀) as the Bukgwan-eosa(北關御使), and then Eom Woo also sent a scout of 27 people, including Nam Jekeuk(南濟極), to Honggipo and Hongdo areas on two times to spy out the region. As a result, they successfully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on Deungdeunggi, and sensed the occurrence of the drifting people[流民] caused by the Qing Dynasty’s crack down on illegal ginseng herbalists[蔘偸採者], and found out the scale and situation of the Chinese native bees[漢人] that fled to the areas of Honggipo and Hongdo. Eom Woo reported what he found to Yongjo, which led to conclude the discussion on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Deungdeunggi in Joseon court. After the expedition, Yongjo rewarde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pying. Later in 1747, Joseon decided to exile two Korean women, who were captured and transferred by Qing administrations for smuggling into Deungdeunggi, after through investigation. Als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ploration could be used to produce the map Haedongjido(海東地圖)’s Seobukpiayanggyejeondo( 西北彼我兩界全圖). As such, Hongdo-jeongatamgi(紅島偵探記), a detailed record on the espionage, is meaningful in several aspects: First, it shows the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and efforts to overcome the sense of potential crisis of Manchuo-seolsin, Toecheek, and Deungdeunggi invasions, which was a keen issue at the time. Second, it provides data on the detailed methods of various explorations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operating personnel, the personnel involved, the exploration routes, the people who met during the reconnaissance,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explorations. Third, by providing geographical names as well as geograph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and customs, it can be used as a major resource for studying the area historically and can be useful for revealing new relationships with the reg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偵探 배경
    1. 莽牛哨設訊과 退柵 문제
    2. 磴磴磯 침입의 위기의식
    3. 偵探에 대한 논의
Ⅲ. 偵探 내용
    1. 제1차 정탐 일정과 내용
    2. 제2차 정탐 일정과 내용
    3. 「後春將標文」
Ⅳ. 정탐 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申相賢(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Shin Sang-hyun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