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 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 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 /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 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and temperature index for the past nine years (2010~2018),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changes and trends in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of sprouting, flowering and leaf unfolding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Lindera obtusiloba Blume and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in Daegu Arboretum, Palgong mt., Juwang mt. and Gaya mt. The change in temperature was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monthly average temperature between March and April compared to February for nine years, and the average temperature of Daegu Arboretum and Palgong mt. were higher by region. The sprouting, flowering and leaf unfolding were the fastest of the Lindera obtusiloba and the slowest of the Pinus densiflora for each species, and the fastest plant season in Daegu arboretum came. SPI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tends to advance by –1.267∼–6.151/9 years, with the largest Pinus densiflora (–6.151/9 years), with the lowest rate of change for Rhododendron mucronulatum (–1.267 days/9 years). Species which shows significant values in sprouting, flowering and leaf unfolding is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Pinus densiflora, which correlate with the mean temperature of January to March. As a result of checking the time series change of SPI, the change rate in the four regions was all negative and the phenolocal index was all accelerating. Among them, the rate of change was greater in inland areas such as Daegu arboretum, Palgong Mt. and Gaya mt. and the rate of change was slightly lower in the case of Juwang mt., which is somewhat distant.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기상자료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기온과 봄 식물계절 시기 변화와의 관계
결과 및 고찰
    기온변화
    봄 식물계절시기의 변화
    기온과 봄 식물계절시기 변화와의 관계
적 요
References
저자
  • 장정걸(대구수목원) | Jung Gul Jang (Daegu Arboretum)
  • 유성태(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Sung Tae Yoo (Divis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김병도(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Byung Do Kim (Divis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손성원(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Sung Won Son (Division of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명훈(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Myung Hoon Yi (Divis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