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 산성과 역사적 의미

Mountain Fortress from the Silla and 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557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9.15.0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3,2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이 글은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 영동지역의 수많은 산성들 가운데 문헌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논증과 함께 고고자료들을 분석하여 신라~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8곳의 산성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고고학적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고, 역사적인 실상에도 접근 할 수 있었다. 우선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도 신라와 통일신라시대의 행정단위인 주-군-현마다 산성들이 있었고, 산성의 규모도 행정 구역 단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주(州) 단위는 1,000m 이상이며, 현(縣) 단위는 200~600m 정도로 구분된다. 또한 일찍이 설치된 실직주와 하슬라주의 산성(州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복식(山腹式)의 토성이고, 이후에 만들어지는 현 단위의 산성(縣城)들은 테뫼식 가운데 산정식(山頂式)의 토성이 많았다. 그리고 신라의 진흥왕 북진기 이 전에 축조한 산성의 성벽은 토루에 돌을 피복하는 공통점도 보였다. 특히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은 바닷가의 곶[산]에 석호나 강을 끼고 입지 하고 있는데, 이들 산성이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관련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그 이후의 시기에는 이들 산성이 다소 내륙으로 들어가 산의 정상부에 입지 하는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진흥왕 북진기부터 통일전쟁기에는 그 입지의 변화가 잘 나타난다. 나아가 강릉 경포호 강문동토성과 삼척 오화리산성의 존재는『삼국사기』에서 실직(城)과 하슬라(城主) 등과 함께 나오는 사료들이 역사적 사실임을 입증해준다. 아울러 삼척 오화리산성은 북해(北海)의 제장(祭場)인 비례산(非禮山)으로 추정된다. 이 글은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비교적 확실한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산성들을 최초로 다루었다는 의의가 있는데, 앞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사와 신라고 고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and to examin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mong the numerous mountain fortress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through critical studies on literary material and by analyzing archaeological data, three mountain fortresses corresponding to the Silla- Unified Silla Kingdoms were extracted. In result, it was possible to discover various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ke an approach on the historical facts. First, there were mountain fortresses at each ju, gun and hyeon, which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Silla and Unified Silla Kingdoms in the East Coast regions of Gangwon-do as well, and it is also evident that the size of the mountain fortres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In other works, they were 1,000m or longer for ju (states) and 200-600m for hyeon (prefectures). Furthermore, the mountain fortresses (village fortresses) of Siljik-ju and Hasla-ju, which were installed early on, were mountainside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nd mountain fortresses (prefecture fortresses) of hyeon made later were mostly comprised of mountain-top earthen walls among mountain walls. Also, the walls of mountain fortresses built prior to the northern push of Silla King Jinheung had the common trait of covering the mountain fortress walls with earthwork. In particular,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Gangneung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were located near lagoons or rivers next to ocean-side mountains. This implies that these are related to the coastal navigation of the East Coast of Silla. But in later periods, these mountain fortresses tended to move further inland and were situated on the tops of mountains, and the change of location is more apparent from King Jinjeung’s push forth and during the war for unification. Moreover, the existence of Gangmun-dong Fortress in Gyeongpoho an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proves that the historical records together with Siljik and Hasla that appeared in the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historical facts. Also, Ohwa-ri Mountain Fortress in Samcheok is presumed to be Biryesan (Mt.), which was the ritual site of the northern sea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Silla-Unified Silla Kingdoms that are relatively certain in the East Coast area of Gagnwon-do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significantly in Silla history and Silla archaeology studies of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do.

목차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Ⅱ. 강원도 영동지역의 신라~통일신라시대 산성
    1. 고성 고성산성
    2. 양양 석성산성
    3. 양양 후포매리산성
    4. 강릉 강문동토성
    5. 강릉 명주성
    6. 삼척 오화리산성
    7. 삼척 숙암리산성
    8. 삼척 갈야산성
Ⅲ. 강원도 영동지역 신라~통일신라시대 산성의역사적 의미
Ⅳ.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영호(하슬라문화재연구소) | Hong Young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