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웰니스 KCI 등재

Comparison of Acceptance of Disability, Stress, Coping Methods, and Wellness between Mothers of Physical Dysfunctional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6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를 비교하여, 유형별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2019 년 4월까지 실시하였고, 두군 간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에 따라 두군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대처방식(r=0.23, p=.033), 장애수용과 웰니스(r=0.51, p<.001)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2, p<.001)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과 웰니스(r=0.40, p<.00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장애수용과 스트레스(r=-0.71, p<.001)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게, 대처방식과 웰니스는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웰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체기능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증진을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 및 대처방식과 웰니스를 모두 증진시켜주는 전략이 필요하고 반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에게는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전략과 웰니스를 증진시켜 주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 survey study to provide the base data necessary to prepare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the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by type, comparing degrees of disability acceptance, stress, coping method and wellness between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and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a mother who raises disordered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April 2019,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In result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and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as degrees of disability acceptance, stress, treatment and wellness. Disability acceptance and coping method of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r=0.23, p=.033), disability acceptance and Wellness (r=0.51, p<.001) have shown positive correlations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stress (r=-0.72, p<.001) have shown negative correlations. Disability acceptance and wellness (r=0.40, p<.001) of the mother with a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 have show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stress (r=-0.71, p<.001) have show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The higher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the lower the stress level and the higher the coping method and wellness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had. The higher disability acceptance, the lower stress degrees and the higher wellness degrees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had. In order to improve disability acceptance by mothers with physical functional disordered children, it was necessary to improve both coping methods and wellness with stress reducing strategy, while the mother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were needed strategies to reduce stress and improve wellnes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의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3.2. 신체기능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웰니스 정도 차이비교
    3.3. 신체기능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 정도차이
    3.4. 신체기능장애아동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웰니스정도와의 상관관계
4. 논 의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강지순(한세대학교 간호학과) | Ji-Soon Kang (Department of Nursing, Hansei University)
  • 황지원(경동대학교 간호대학) | Ji-Won Hwang (Department of Nursing, Kyungd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정애(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Jung-Aa Kim (Department of Nursing, Kyungb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