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초등 사회교과서와 중,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대몽항쟁 관련 서술을 언어학적 접근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교급별로 행위자의 유형, 행위자와 프로세스 관계 제시 방식이 달랐다.
행위자의 유형은 초등의 경우 다른 학교급에 비해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행위자가 제시된 반면 중,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는 행위자가 구체적 인물부터 집단과 세력 그리고 명사화된 추상적 행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행위자와 프로세스 관계를 보면, 초등은 행위자와 프로세스 유형이 단일하게 연결되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행위자와 연결된 프로세스 유형이 복합적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시간성과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문법 장치는 학교급별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한 서술방식은 행위자의 유형이나 행위자와 프로세스의 관계를 단순화시키는 것보다 시간성이나 인과관계를 문법 장치로 명확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descriptions related to ‘Daemong struggl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with a linguistic approach.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 types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and process relationships were present at different levels in the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abstract and general participants in elementary school,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ranged from specific characters to groups and forces, and nominal abstract participants.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process, elementary schools had a single conne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type of process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nts, but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process types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were presented in a complex manner.
Meanwhile, grammatical resources, illustrating time and causality, showed no difference in school levels. A descriptiv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needs to clearly illustrate these relationships with grammatical resources rather than simplifying the types of participants, 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and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