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리왕산 지역의 개미 고도별 분포 KCI 등재

Altitudinal Distribution of Ants in Mt. Gariwangsa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의 지표종인 개미류의 시기별 우점종 및 개체군 변동을 살펴보고,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개체군 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고도별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함정트랩을 사용하여 정방형조사법(10m×10m)으로 개미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고도별 조사 결과, 총 3아과 11속 14종 15,466개체가 채집되었다. 낮은 고도(700m)에서 13종 4,548개체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일본장다리개미(49.9%)로 나타났고, 중간 고도(900m)에서 8종 9,12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으로 극동혹개미(57.7%)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높은 고도 (1,100m)에서 10종 1,789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으로 코토쿠뿔개미(43.3%)가 확인되었다. 고도별로 일본장다리개미, 스미스개미, 극동혹개미는 폭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population variation of the ant species, an indicator species of biodiversity, to obtain basic data on the changes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2013, and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ants by square irradiation method (10m × 10m) using traps. The survey in each altitude identified a total of 14 species of 11 genera in 3 subfamilies and collected 15,466 individuals. We confirmed the distribution of 4,548 individuals of 13 species at low altitude (700m),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Aphaenogaster japonica (49.9%). At the middle altitude (900m), we collected 9,129 individuals of 8 speci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heidole fervida (57.7%). At high altitude (1,100m), we identified 1,789 individuals of 10 species, and Myrmica kotokui (43.3%) was the dominant species. It was confirmed that Aphaenogaster japonica, Nylanderia flavipes, and Pheidole fervida we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altitud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 방법
    1.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
    2. 분류 동정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조경연(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 | Kyoung-Yeon Cho (Plant Quarantine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 김일권(국립수목원 생물조사과) | Il-Kwon Kim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Korea National Arboretum)
  • 류동표(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Dong-Pyeo Lyu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angJ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