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KCI 등재

A Habitat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of Khingan Fir(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Landscape Ind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분비나무 등 국내 아고산대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15가지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서식지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내 자생하고 있는 모든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내 분비나무군락의 식피율 증・감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다만, 식피율 50% 미만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전반적으로 낮은 피도와 개체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피율 10~50% 구간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총 286개의 패치로 파편화되어 있어 서식지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형태에 따른 주연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총 가장자리 길이와 가장자리 밀도는 식피율 26~50% 서식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식피율의 서식지에 비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크기의 패치일지라도 식피율 10~50%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식지 파편화 및 외적 교란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 를 활용하여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서식지의 확대 혹은 축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각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의 형태변화와 연결성, 파편화 등에 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are few landscape ecological analyses of Khingan fir (Abies nephrolepis) and other habitats of the sub-alpine zone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quantitatively interpret and assess the habitat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15 landscape indic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ree layer coverage, in the Khingan fir habitat growing naturally in the sub-alpine zone of Seoraksan National Park.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tendency of landscape ecology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tree layer coverage in the study site, which was the entire Khingan fir habitat in Seoraksan National Park. However, the Khingan fir habitat was found to be generally low in coverage, and population density as the tree layer coverage of less than 50 percent accounts for 85 percent of the total habitat. Moreover, the Khingan fir habitat in the 10 to 50 percent range was fragmented into a total of 286 patches, making it relatively less connected to the habitat. The total edge length and edge density, which could determine the edge effect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hysical form, were the highest in the habitat of 26 to 50 percent coverage, indicating a relatively high impact from outside than habitats of other coverages. The shape with the tree layer coverage of between 10 and 50 percent was more complex even with patches of the same size, and it is believ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more susceptible to habitat fragmentation and external confounding.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ime series analysis of spatial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Khingan fir habitat in Seoraksan National Park and provide the reference data for the morphological change and movement of patches and the connectivity and break-off between forest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대상지 및 자료
    2. 경관지수 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이호영(한길숲연구소) | Ho-young Lee (Hangil Institute of Forest Ecology)
  • 박홍철(국립공원연구원) | Hong-chu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교신저자
  • 이나연(국립공원연구원) | Na-yeon Lee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이호(국립공원연구원) | Ho Lee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