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스크린 인쇄 및 스핀 코팅 정공 수송층 비교

Comparison of screen printed and spin coated hole transport layer in perovskite solar c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정공 및 전자 수송층은 페로브스카이트 소자에서 효율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NiO가 정공수송층 으로서 태양 전지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태양 전지의 HTL(hole transport layer) 물질로서 NiO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NiO를 스크린 인쇄 및 스핀 코팅 방법으로 각각 제조 및 비교실험 하였으며, 서로의 특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스크린 인쇄 기술로 10.65 %의 태양 전지 효율을 달성 한 반면 스핀 코팅 된 HTL로 18.61 % 효율을 달성했으며 또한 AFM 분석을 사용하여 HTL 층의 거칠기를 연 구하였다. 스크린 프린팅으로 형성된 필름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HTL 필름에서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Hole and electron transport layers play significant role in the perovskite devic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device. Here, we have used NiO as hole transport layer (HTL)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and spin coating methods. Most of researchers are working on the NiO as the HTL material in solar cell. NiO is important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devices. We achieved solar cell efficiency of 10.65% with screen printing technique whereas 18.61% efficiency was obtained with spin coated HTL. We also studied the roughness of the HTL layer by using AFM analysis. The efficiency was found to decrease with screen-printed HTL, as the film formed with screen-printing is not uniform.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Pramila Patil(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 임수만(LANL-JBNU 공학연구소) | Sooman Lim (LANL-JBNU Engineering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 나석인(전북대학교) | Seok-In Na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