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V+完’과 ‘V+好’의 의미특징 및 인지과정 비교 연구 KCI 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eaning Features and Cognitive Process of ‘V+wan’, ‘V+ha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0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논문에서는 ‘V+完’과 ‘V+好’ 구문의 의미특징을 간략히 살피되 궁극적으로 두 구문이 어떠한 인지과정을 거쳐 이해되는지 그 인지과정을 고찰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작 의 완료라는 기본 의미의 전제하에 양의 소실과 출현을 근거로 의미특징을 비교하였는데, ‘V +完’은 양의 소실, ‘V+好’는 양의 획득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유형별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보어 감지→인과관계를 매개로한 연상 작용→인과관계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인과관계의 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V+完1 /完2/好1/好2’ 구문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혼성공간으로 투사되기 전 ‘完2’는 완성이라는 원형의미에서부터 주어진 양의 달성으로써 양의 소실의 의미가 부가되는 의미 획득의 원형확장이 진행되고, ‘好1’은 원형의미 로부터 추론기제가 작용하여 완성의 의미만을 나타내는 의미 소실의 원형확장이 이뤄지는 것으로 원형의미와의 인지적 변별이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In this study, we briefly looked at the meaning of 'V+wan' and 'V+hao' to exami ne and explain the cognitive process in which the two structures are ultimately un derstood. First, we compared seman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sappearance o f quantity and appearance of quantity on the basis of the basic meaning of the e nd of certain action. Moreover, with a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cognitive linguistics as the groun d of interpret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of 'V+wan' and 'V+hao', centering around of the examples introduce d in the abov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In general, it was noted that the 'V+wan 1' and 'V+hao1·2' went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 as follows: “Detection of Resul tative Verb Compound → Association mediated by the similarity of causal relations hip → Extra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 Construction of conceptual influences → connection of the conceptual influences through cross-space mapping → Format ion of a blended space through projection → Emphasis of an emergent structure t hrough a conceptual blending process on the basis of causal relationship → Produ ction and understanding of 'V+wan1·2' and 'V+hao1·2'.”

목차
【초록】
1. 서론
2. ‘V+完’과 ‘V+好’ 구문의 의미특징 비교
    1) ‘V+完’ 구문의 의미특징
    2) ‘V+好’ 구문의 의미특징
3. ‘V+完’과 ‘V+好’ 구문의 인지과정 분석
    1) 개념적 혼성 이론
    2) ‘V+完’과 ‘V+好’ 구문의 인지 과정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정은(신라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중어중국학전공) | Jung Eu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