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북아해역에서 근대학술 성립의 양상 ― 일본 중국학의 탄생과 현재 KCI 등재

Academic Exchange Patterns in Modern Northeast Asia sea region : Establishment of Japanese Chinese Studies and Pres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0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동북아해역에서는 근대 이전에도 문화적 교류가 빈번하여 중국의 전통학문인 한학이 한반도와 일본에 수용되었다. 도쿠가와 막부시절 일본에 본격적으로 소개된 주자학은 조선과 중국본토를 통해서 들어와 짧은 시간에 큰 성장을 이루었고, 또 난학으로 대표되는 서양학문도 수용되었다. 이후 메이지시대를 맞이한 일본은 국민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국학을 필요로 했고, 이 국학의 탄생과정에 서학과 한학이 길항하게 되었다. 근대 학문으로서 국학을 정립하려 했던 일본 지식인들은 근대 이전에 수용한 한학과 어떤 관계를 설정해야하며 또 어떤 내용을 담아야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놓이게 된다. 이것은 근대 학문으로서 일본에 중국학을 정립 하는 문제와 연결되었고, 이 과정에서 서구의 시놀로지를 참조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 중국학의 성립과정을 역사적으로 점검하고 현재 일본에서 중국학은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우리의 향후 중국학에 대한 전망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modern era, material and human exchanges have begun to be frequent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Of course, before the modern era, there was no exchange through the sea. From an academic standpoint, it is one of these cultural exchanges that Chinese traditional scholarship, Hangaku(漢學), is embrac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In the Tokugawa shogunate, the doctrines[teachings] of Chu-tzu introduced in earnest in Japan came in through the Joseon and mainland China and grew 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was also accepted that the Western studies represented by Rangaku(蘭學). In this situation, Japan, which faced the Meiji era, needed Kokugaku(國學) as an ideology of the nation state. In the process of the birth of this Kokugaku, the Western studies and Hangaku became antagonistic. The Japanese intellectuals who tried to establish a Kokugaku as a modern scholarship are in a worry ab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with what Hangaku had accepted before modern times a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This wa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hinese studies in Japan as a modern discipline, and in this process, it came to refer to Western Synology. Japanese Chinese Studies was born in this process, and it is reaching to the presen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 Chinese studies and examines what Chinese studies are aiming at in Japan at present. This is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for our future Chinese studies.

목차
【초록】
1. 거울로서의 일본 중국학
2. 필로로지의 중국학
3. 현대중국연구의 중국학
4.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보는 중국학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서광덕(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Seo Kwang-Deok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