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in the Spring at Gijang-gun, Bu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7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 갈조류 18종(14.9 %), 홍조류 90종(74.4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 g·m-2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 g·m-2, 조하대 1,869.4 g·m-2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 g·m-2, 공수 1,228.1 g·m-2, 대변 1,044.4 g·m-2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 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 ~ ‘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 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scuba diving activity between May 2017 and June 2017 in order to analyze spring marine algal community structure at Gijang-gun, Busan. A total of 121 species including 13 (10.7 %) Chlorophyta, 18 (14.9 %) Phaeophyta, and 90 (74.4 %) Rhodophyta were identified. The species count in the subtidal zone (110 species) was twice as high as in the intertidal zone (56 species). In terms of regions, 88,76, and 75 species were found in Mundong, Gongsu, and Daebyeon, respectively. Mean biomass for the whole study area was 1,501.5 g·m-2, higher for the subtidal zone (1,869.4 g·m-2) than for the intertidal zone (1,133.5 g·m-2). Mean biomass by region values were 2,234.0 g·m-2, 1,228.1 g·m-2, and 1,044.4 g·m-2 for Mundong, Gongsu, and Daebyeon, respectively.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and Corallina pilulifera had high biomass in the intertidal zone, while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and Phycodrys fimbriata had high biomass in the subtidal zone. The composition ratio of marine algal functional forms suggests that the entire study area had 'Low' status, and all sites fell within 'Low' to 'Moderate' status. Results indicate that opportunistic specie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Gijang-gun coast, hence potential effects of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hould be considered. Seaweed farming in particular - a major activity along the Gijang-gun coast -, together with effects of other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national fishing port development and the coastal improvement project, could have long-term effects on marine algal communities. Therefore, long-term monitoring and management plans for marine algal communities will be requir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3.1 종조성
    3.2 생물량
    3.3 우점종
    3.4 군집지수
    3.5 군집 상태 분석
    3.6 군집 집괴 분석
4. 고 찰
References
저자
  • 정승욱(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Seung-Wook Jung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창근(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Chang-Geun Choi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