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ti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Tone in Gyeongge Anchaebi Sori (Buddhist Chants of Seoul and Gyeonggi): A Study of Chageoseong, Yuchiseong, and Pyeongeseong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경제 안채비소리들(착어성·유치성·편게성)의 종합적인 음악 특징을 통해 서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먼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성조의 선율 특징과 변용 양상 및 그 원인을 논의해보았다. 먼저 종합적인 음악 특징을 보면, 모두 3소박 불규칙박자, 메나리토 리를 근간으로 한 음악어법, 한 옥타브 이내의 좁은 음역, 평이(平易)하고 유유한 선율 특징 등 기본적인 음악 특징이 같으면서도, 고유의 소리 기능과 성격에 따라 음악적 차이와 묘미가 있다. 성조의 선율 특징을 통해 역사적 변용 양상과 그 원인을 살펴본 결 과, 경제 안채비소리에서 평성은 대개 높은 음을 중심으로 평으로 내는 중국 성조와 달리 ‘저음을 평으로 내는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그리고 그 원인을 중세국어의 평성(平聲)과 한국음악의 평조(平調) 및 악기의 낮은 성음(예>중국의 쟁과 한국의 가야금 비교)에서 찾았다. 상성과거 성은 본래 높은 음을 중심으로 성조의 특징이 좀 다르지만, 경제 안채 비소리에서는 모두 나름대로 중간 높은 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되는 방식으로 변용되었다. 그리고 이 또한 중세 국어의 특성(상성과 거성의 동질성)과 경제 범패의 음악적 성향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입성은 중국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소멸된 성조이지만, 한국에서는 특이하게 다양한 양상으로 더욱 발전된 특징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 또한 중세국어의 특징(받침의 안울림소리 전승)과 경제 범패의 음악적 예술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요컨대, 경제 안채비소리 성조의 선율 특징과 변용 양상은 중세 한글 (국어 한자음 포함)과 한국음악 고유의 특징이 함께 작용하여 이루어진 결과이며, 예술성을 은연히 추구하는 경제 범패의 음악성도 성조의 전승 양상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대의 엄격한 4성 체제는 중국에서도 이미 오래 전에 변화되었고, 한글의 성조(4성)도 16세기 말 이후 점차 소멸되었지만, 경제 안채비소리에서는 그 특성이 상당부분 남아있어, 역사적, 국어학적, 음악 문화적 차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Gyeongge anchaebi sori (chageoseong, yuchiseong, and pyeongeseong), which are Buddhist chants performed inside a temple. Then, this paper subsequently discusses the transformation of their melodic tone. All three styles of Buddhist chants discussed in this paper share the following basic musical characteristics: a three-small-hit irregular rhythm, a musical scale based on menaritori, a range limited to a single octave, and a simple and leisurely melody. However, they also contain subtle differences relating to the unique function and personality of three different Gyeongge anchaebi sori. Our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tone reveal that whereas Chinese tone adopts a level tone (平), Gyeongge anchaebi sori adopts a low tone as its level pitch (平聲). The reason for this can be traced back to the level tone (平聲) of middle Korean, the level note (平調) of the Korean musical scale, and the low voice of instruments. It is also estimated that this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deep and tranquil temperament of Korean people. The tone of the rising and departing tones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originally based on a high pitch, whereas melodies in Gyeongge anchaebi sori have changed to be based on a middle-high pitch. Moreover,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and the Gyeonggi area as well as the musical temperament of Seoul- Gyeonggi area Buddhist chants appear to be the cause of this. Indeed, the relatively soft rather than harsh vernacular of this area is effective for conveying the meaning of Buddhist writings and is reflected in the limited melodic range of anchaebi sori. As a result, its simple and leisurely melody limits the diversity and strength of musical expression and appears to be the factor which has limited both tones to a single melody in the middle-high melodic ranger. Although the entering tone (入聲) in China disappeared a long time ago, in Korea the tone has uniquely developed into a variety of forms. This has also combined with the uniqu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oul-Gyeonggi area and the musical artistry of Gyeongge Buddhist chants. Unlike in Chinese, the sound of the final consonant when using the entering tone continues to be passed down in Korean. In Buddhist chants as well, the entering tone has remained unchanged. Moreover, in Yuchiseong, the form of the unique melody of jikchok—which derives from the vocalization of the entering tone—has diversified even further. The traditional melodic forms commonly found in anchaebi sori are rather uniform and differ from other simple melodies, while also displaying a musical subtlety which supplements this simplicity. In conclusi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melody in the tone of Gyeongge anchaebi sori is a result of interactions with the features of middle Korean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itself. Moreover, the musicality of Seoul-Gyeonggi area Buddhist chanting has also had a large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 of tone throughout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