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글필사본 『여사서』의 서지학과 서사기법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the Bibliography and Writing Techniques of the “Yeosase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64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을 위한 규범서가 있다. 그 가운데 여사서는 영조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책으로 여성의 교육과 덕행 및 수 양 등을 기록한 책이다. 1736년에 간행한 초간본과 1907년에 간행한 중간본 그리고 이후 중간본을 토대로 19세기경에 한글로 필사한 필 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은 간행본과 달리 한글로만 필사되어 있고 한글서예가들이 범 본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먼저 간단하게 서지학을 살펴본 후 이를 기저로 하여 필사본 ‘정자’에 나타난 결구와 서사기법의 특징 및 예술적, 서예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학 연구는 『여사서』가 국내로 유입, 간행한 동기ㆍ시 대배경ㆍ언해자ㆍ내용ㆍ여사서의 종류와 서체 등을 살펴보았다.
초간본은 1736년(영조 12년)에 홍문관 제학 이덕수에게 4권 3책의 『여사서』를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하였고 출판된 번역본에 영조 가 직접 서문을 썼다. 언해 순서는 『여계』ㆍ『여논어』ㆍ『내훈』 ㆍ『여범』순이고 언해 방식은 원문에 독음과 구결을 단 후에 한 칸 낮추어 언해를 첨부하였다.
중간본은 1907년에 간행한 목판본 『여사서』가 있다. 이는 박만환 이 한글로 번역한 뒤 송병순이 서문을 쓰고 전우가 발문을 적은 것 이다. 순서는 초간본과 달리 『여계』ㆍ『내훈』ㆍ『여논어』ㆍ『여 범』의 순서로 실려 있다. 이 중간본은 언해가 초간본과 전혀 다르다. 한자음은 없고 한문 원문을 싣고 그 뒤에 언해를 붙였는데 이 언해 는 초간본에 비해 의역체인 점이 크게 다르다. 초간본의 판 사항은 활자본이고 중간본의 판 사항은 목판본이며 이후 중간본을 모본으로 삼고 필사한 필사본은 모두 년대와 필사자가 미상이다.
둘째,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사서> 필사본 가운데 정자를 선택하여 서사기법의 특징을 결구와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 았다. 초성과 중성에 접필하여 필사한 가로 점은 앙ㆍ평ㆍ부와 같이 3종류로 분류하여 부드럽고 우아함이 나타난다. 기필 부분은 45° 각 도의 노봉으로 꺾어 예리하고 굳세다. 가로획 수필 부분은 대체로 무 겁게 눌러 필획을 전환하면서 수렴 회봉하여 굳세고 온후하며 부드 러운 느낌이 나타난다. 필획의 굵기와 방향은 변화를 많이 주지 않았 고 자간은 붙이고 행간을 넓혀 시원해 보인다. 공간 배분은 비율이 같아 형상은 단아하고 아름다우며 엄숙함이 나타나 규범서로서 손색 이 없는 글씨이다.
셋째, 한글 필사본 자료의 가치는 예술적 가치와 서예적 가치를 함 유하고 있다. 먼저 예술적 가치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미적 조형의 규율에 따라 예술적으로 갖추어야할 법도가 충족 되고 우리글의 우 수성과 아름다운 글씨로서 손색이 없다. 서예적 가치는 범본으로 삼 고 있는 필법이 부합되어 한글서예 작품으로 가장 핵심적인 가치라 할만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여사서>의 서지학과 서사기법에 대 한 이론을 연구하였다. 비록 문자의 결구와 기법에 대한 간단한 연구 이나 이후 한글서예의 이론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norms for women. Among them, “Yeosaseo” was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cording women's education, virtues, and discipline. Based on the first draft published in 1736, the interim edition was published in 1907 and manuscripts written in Hanguel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interim edition,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m, the manuscript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s written only in Hanguel, unlike the publications, and is used by Korean calligraphers as an example. In this paper, we first took a brief look at bibliography based on this manuscript with block letters ‘Jungja’, and then looked at not only the arrangement of the letters on one lin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nd calligraphic values of the manuscript ‘Jungja’.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bibliography study shows the motivation of the introduction and printing of “Yeosase”, the period background, narrator, content and the kinds and wring style of the book.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736 (the 12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under the order of the King. Hong Mun-gwan interpretted 3sets of the four volumes of “Yeosaseo” and King Yeongjo wrote the preface to the published translation. The order of the translation is “Yeo-gye”, “Yeo-noneo”, “Nae-hun”, and “Yeo-beom”. and the method of the translation is to attach the meaning in Hanguel in the next line after writing the chinese sounds of the origin. The interim edition has a woodblock version of "Yeosaseo" published in 1907. After Park Man-hwan translated it into Hanguel, Song Byung-soon wrote the preface and Jun-woo wrote the postscript. Unlike the first draft, the order is in the order of "Yeo-gye", "Nae-hun", "Yeo-noneo" and "Yeo-beom". This interim book has completely different translation from the first edition in that it is a free translation compared to the first draft. There is no Chinese sound, but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loaded.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is of type capital while the middle version of the book is of woodblock, and all the manuscripts that were copied from the middle version are unknown of the year and the scribe. Second, among the manuscripts of the “Yeosase”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we selected block letters ‘jungja’ and examined them in terms of arrangement of the letters and writing technique. The dots written as the initial consonants and medit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Ang’, ‘Pyeong’, and ‘Bu’, showing a soft and elegant appearance. This also shows apparent brush tip with a 45° angle making it feel sharp and firm, and when the horizontal line finishes off, it presses heavily with the brush tip converging, creating a firm, mild and soft feeling. The thickness and direction of the handwriting have not changed much, and the spacing between the letters is attach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lines is widened to make it look cool. The space distribution is the same so the shape is graceful, beautiful, and solemn, making it a normative letter. Third, the value of the Korean manuscript contains artistic and calligraphic values. First of all, artistic value is fulfilled according to the rules of aesthetic sculpture that Hangeul has, and it is perfect for the excellence and beautiful handwriting. Calligraphic value is that it is consistent with the writing style used as an exam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a work in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briefly studied the theory of block letters 'jungja'. Although it is based on a simple study of the arrangement of the letters and writing technique.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Hangeul calligraphy later on.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서지학 고찰
Ⅲ. 서사기법의 특징
    1. 결구
    2. 용필
Ⅳ. 여사서 한글필사본의 서예적 가치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애자(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Lee Aeja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