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계속 거주(Ageing in Place)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검토하 여, 연구 결과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해외 데이터베이스(Scopus)를 활용하여 노인의 계속 거주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검색어로는 ‘Ageing in Place’가 사용하고, 검색 기간은 201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다. 검색결과 중 최종 선정된 논 문은 1,389편이었다. 분석은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출판 경향, 국가 및 지역, 연구분야, 키워드 등을 파악하고, VOS Viewer를 활용하여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 2013~2023년 동안 연도별 출판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한 주요 국가 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의학, 사회과학, 간호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인(older adults, older people), 주택(housing), 치매(dementia), 기술(technology), 삶의 질(quality of life) 등의 다양한 측면의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계속 거주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출판 문헌 수의 증가 추세와 주요 학문 분야 의 집중적 연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계속 거주에 대한 연구는 노년층의 안정적이고 만족된 삶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 임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6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측정을 위한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VOS viewer를 사용하여 국가/지역, 학술지, 연구기관, 저자, 키워드 및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문헌의 연도별 출판은 2011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0년에 가장 많은 문헌이 출판되었다. 공공환경 및 직업보건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과 영국이 높은 인용횟수와 연결강도를 보였다. 대한민국은 상위 20위로 나타났다. 주요 키워드는 코로나19, 건강, 외로움, 우울, 불안,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주요 키워드와 연구 동향 및 연결성을 파악함으로 시간적 흐름에 따른 연구변화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고립의 예방적 관점에서 평가와 중재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 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이 다양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영역의 경우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메커니즘 규명(제1연구영역), 임분 조건에 따른 토양보강 효과 추정(제2연구영역),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를 고려한 사면안정성 평가(제3연구영역) 및 계안안정성 평가(제4연구영역)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국외에서는 산사태 방지에 있어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국내 학술지는 제1연구영역과 제3연구영역만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기초적인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다변화되는 산림생태계의 산사태 방지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수종뿐만 아니라 생육조건, 교란 이후 토양보강 효과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제2연구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ny research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er’s intended purpose, the depth of research is added, and the area of the subject is expanded by clearly defining the scope and objectiv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bibliographic data of 254 paper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from 2002 to 2021.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2002 to 2011, and 2012 to 2021.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emporal changes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by period. In addition, analyzing the keyword network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the research top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which keywords were expanded by perio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ostly studied for satisfaction and nutrition. Additionally, they were classified into procurement, Korean food before employee menu, marketing, restaurant industry, and quality. In the period from 2002 to 2011,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encompassed a wide range of research topics, focusing on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 the second period from 2012 to 2021, the research topics were more classified and subdivided.
        5,100원
        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을 위한 규범서가 있다. 그 가운데 여사서는 영조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책으로 여성의 교육과 덕행 및 수 양 등을 기록한 책이다. 1736년에 간행한 초간본과 1907년에 간행한 중간본 그리고 이후 중간본을 토대로 19세기경에 한글로 필사한 필 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은 간행본과 달리 한글로만 필사되어 있고 한글서예가들이 범 본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먼저 간단하게 서지학을 살펴본 후 이를 기저로 하여 필사본 ‘정자’에 나타난 결구와 서사기법의 특징 및 예술적, 서예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학 연구는 『여사서』가 국내로 유입, 간행한 동기ㆍ시 대배경ㆍ언해자ㆍ내용ㆍ여사서의 종류와 서체 등을 살펴보았다. 초간본은 1736년(영조 12년)에 홍문관 제학 이덕수에게 4권 3책의 『여사서』를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하였고 출판된 번역본에 영조 가 직접 서문을 썼다. 언해 순서는 『여계』ㆍ『여논어』ㆍ『내훈』 ㆍ『여범』순이고 언해 방식은 원문에 독음과 구결을 단 후에 한 칸 낮추어 언해를 첨부하였다. 중간본은 1907년에 간행한 목판본 『여사서』가 있다. 이는 박만환 이 한글로 번역한 뒤 송병순이 서문을 쓰고 전우가 발문을 적은 것 이다. 순서는 초간본과 달리 『여계』ㆍ『내훈』ㆍ『여논어』ㆍ『여 범』의 순서로 실려 있다. 이 중간본은 언해가 초간본과 전혀 다르다. 한자음은 없고 한문 원문을 싣고 그 뒤에 언해를 붙였는데 이 언해 는 초간본에 비해 의역체인 점이 크게 다르다. 초간본의 판 사항은 활자본이고 중간본의 판 사항은 목판본이며 이후 중간본을 모본으로 삼고 필사한 필사본은 모두 년대와 필사자가 미상이다. 둘째,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사서> 필사본 가운데 정자를 선택하여 서사기법의 특징을 결구와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 았다. 초성과 중성에 접필하여 필사한 가로 점은 앙ㆍ평ㆍ부와 같이 3종류로 분류하여 부드럽고 우아함이 나타난다. 기필 부분은 45° 각 도의 노봉으로 꺾어 예리하고 굳세다. 가로획 수필 부분은 대체로 무 겁게 눌러 필획을 전환하면서 수렴 회봉하여 굳세고 온후하며 부드 러운 느낌이 나타난다. 필획의 굵기와 방향은 변화를 많이 주지 않았 고 자간은 붙이고 행간을 넓혀 시원해 보인다. 공간 배분은 비율이 같아 형상은 단아하고 아름다우며 엄숙함이 나타나 규범서로서 손색 이 없는 글씨이다. 셋째, 한글 필사본 자료의 가치는 예술적 가치와 서예적 가치를 함 유하고 있다. 먼저 예술적 가치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미적 조형의 규율에 따라 예술적으로 갖추어야할 법도가 충족 되고 우리글의 우 수성과 아름다운 글씨로서 손색이 없다. 서예적 가치는 범본으로 삼 고 있는 필법이 부합되어 한글서예 작품으로 가장 핵심적인 가치라 할만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여사서>의 서지학과 서사기법에 대 한 이론을 연구하였다. 비록 문자의 결구와 기법에 대한 간단한 연구 이나 이후 한글서예의 이론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7,800원
        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45년 해방을 맞이한 후 1954년까지 한국은 해방과 미군정, 그리고 한국전쟁 등으로 거의 10년간 국토의 지도 제작에 대한독자적인 관심을 가질 수 없었다. 그 당시에 사용된 지도는 미군 지도가 유일하다. 현재 텍사스 대학이 소재하고 있는 1946년, 1951년에발간된 미육군지도창 제작 서울 지도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어 있다. 이에 반해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1951년의 미군정 지도는 한국에서 희소한 자료로 판단된다. 이들 미군정 지도는 군사작전과 지형 및 도시경관 변화 연구에 매우 유익한 당시의 정보를 제공한다.이 연구의 목적은 1946년 초판 발행되고 1950년 재편집되었으며, 1951년에 발간된 미육군지도창에서 UTM 좌표계로 제작한 서울 중심부의 지도를 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미군정 지도의 발달과정을 고찰한다. 그 다음으로, 온라인 공개된 미군 지도와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미군정 지도의 서지학적 특성을 비교한다. 특히, 좌표체계, 축척, 방위, 투영법, 지명, 행정구역, 범례, 출처,용도 등 지도의 기본 구성 요소별 특징을 고찰하고 색필로 수기된 내용의 지리적 의미를 고찰한다. 본 지도는 서울의 토지이용과경관의 변화를 연구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4,000원
        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클라우스 피터 요쿰 교수는 예이츠 연구 서지학자들 중에 가장 저명한 학자로 예이츠와 예이츠연구를 말한다. 예이츠에 대한 방대한 글과 아직 시인 예이츠, 인간 예이츠에 대한 글이 쏟아지고 있는 것을 모으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 그의 통찰 력 있는 예이츠와 예이츠 연구에 대한 견해를 들을 수 있는 인터뷰를 하게 된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다. 독자들은 그의 말을 귀담아 음미하시기 바란다.
        4,000원
        10.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의 출판연도, 연구저자, 공인용, 키워드 현황을 분석하여 운동과 실 행기능에 관한 연구동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Web of Science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련한 학술지 총 1577편을 대상으로 CiteSpace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계량서 지학적 분석, 데이터 시각화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6년 동안 출판편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 였으며, 주로 미국에서 발표한 연구편수가 많았고, 연구의 영향력도 컸다. 둘째, Arthur F. Kramer와 Yukai Chang 을 중심으로 협력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피인용이 높은 연구는 주로 메타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무작위대조실 험으로 구성된 연구였다. 넷째, 키워드 현황으로는 연구방법, 관여질병, 관여방식, 연구내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키워드 클러스터에 따르면 인지기능, 요가, 우주비행, 사건관련전위, 일회성 운동, 자기관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학자 간 협력이 다수 존재하고 공인용 문헌은 ‘운동은 인지를 변화시킨다’ 와 ‘운동은 인지구조를 변화시킨다’ 두 가지로 나뉘었다. 또한 학자들은 이미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 에서, 다양한 대상, 방법을 통해 운동과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last 10 years, the annual number of published journal articles on biochar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addition, biochar research in South Korea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a variety of research fiel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biochar research trend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South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mpiled from onlin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cientific articles from 2010 to 2015. Annual production, institutes, main journal titles, research fields and frequency of keywords were analyzed to assess current research trends. As a result, biochar research in South Korea was found to be initially 10 years behind the global trend, but in 8th place globally in terms of published articles as of 2015. Future research on the long-term ecological/environmental effects of land-applied biochar and factory-scale production systems is necessary to promote practical use of biochar in South Korea.
        1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s used to identify key subject areas, research trends over time, and new discussions in a study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area of rural planning using bibliometric method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Rural Plannin g」 from 1995 to 2014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nual publications, the number of periodical contributions, the authorship patterns, and popular research subjects and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and authors has increased over the 20 years periods (1995-2014); (2) The most published authors are associated with the study of rural plan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ve highly contributed to the paper publications; (3) The most frequent word in titles is “Rural“ for the whole period from 1995 to 2014. The most frequent words are “Village“ and “Planning“ from 1995-2006, and “Landscape“ and “Village“ in 2007-2010, and “Village“ and “Area“ from 2011-2014; and (4) The most used keywords are “Rural amenity“, “Rural village“, and “Rural landscape“ for all of the different time fr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