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大韓作業治療學會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33권 제1호 (2025년 3월) 6

1.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태도, 실행능력,조 직문 화, 방해요인을 조사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뇌졸중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2월부터 7월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응답자들은 근거중심치료에 대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고(78.5%), 작업치료사의 정체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76.5%). 하지만 연구 문헌을 해석(44.0%)하고, 문헌의 질을 판단하며 (35.0%), 임상실행을 위한 PICO 질문을 도출해내는(33.5%) 부분은 치료사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기관에 따른 조직문화 유형은 관계문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거중심치료의 방해요인으로는 문헌 검색을 위해 근무시간 외에 시간이 필요하다(61.5%)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근거중심치료의 태도 및 실행능력과 관계가 가장 높았던 조직문화는 관계문화와 진취문화였다. 결론: 뇌졸중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이 근거중심치료를 위한 질문을 도출해내고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등의 실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해 임상 기관에서 근거중심치료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주는 등 조직적인 지원과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성장 및 창의적인 활동을 존중해주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4,300원
2.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성인(18~54세)을 대상으로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실행(Yonsei Lifestyle Profile- Active, Balanced, Connected, Diverse: YLP-ABCD)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여 연령층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건강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성인(18~54세) 300명과 중고령자(55세 이상) 299명, 총 59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YLP-ABCD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와 Spearman-Brown 계수를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Fisher’s z-test를 통해 성인과 중고령자 그룹 간의 상관계수 차이를 비교하여 YLP-ABCD의 동시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YLP-ABCD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 식습관, 사회관계, 작업참여의 각 영역에서 높은 신뢰도(Cronbach’s α = 0.929, Speraman-Brown = 0.627)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인과 중고령자 간 Pearson 상관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아(p > 0.05) 두 집단에 걸쳐 평가도구의 타당성이 일관되게 유지됨을 입증하였다. 결론: Y본 연구는 LP-ABCD가 성인과 중고령자 모두에게 일관된 신뢰도와 타당성을 가지는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YLP-ABCD는 연령에 관계없이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는 유효한 도구로 활용 가능함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3.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성인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전인적 웰빙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PubMed, CINAHL, MEDLINE, Embase를 사용하여 2014년 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ASD”,“intellectual disability”, “cerebral palsy”,“parents”,“caregiver”, “informal caregiver”,“formal caregiver”,“intervention”을 사용하였고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3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이후, Web of science에서 3개의 논문을 추가하여 6편의 연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수준 분석 모델, 근거 중심 물리치료 데이터베이스, PICO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6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방법론적 질 평가의 총점 평균은 6.6점으로 ‘양호’로 나타났다.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유형은 대체로 가족의 범주에 해당하였다. 중재의 유형은 다양하였지만, 정신 건강 개선을 위한 중재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에게 중재를 제공한 결과, 정신적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일부 연구에서는 운동 행동, 자기 관리 행동, 영양 행동 등의 신체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개선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웰빙을 포함한 전인적 웰빙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보호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타당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4,800원
4.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외 사회적 고립 중재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사회적 고립 중재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RISS, Embase, CINAHL, PubMed, Web of Science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검색용어로는 ‘child’ OR ‘children’ OR ‘preschool’ AND ‘quarantine’ OR ‘social isolation’ OR ‘loneliness’를 사용하였다.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 중 기준에 부합하는 최종 7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 수준, 고립의 유형, 중재 방법, 평가 도구, 중재 효과 순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 중재는 시설 기반 중재 5편과 가정 기반 중재 2편으로 구성되었다. 중재 효과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회적 의사소통, 인지, 정신 건강, 신체 건강, 적응행동(긍정적 행동, 부정적 행동 포함), 일상생활 동작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고립 중재에 대한 접근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중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는 임상에서 적절한 중재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800원
5.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 작업치료(학)과가 있는 55개 대학을 전수 조사하였고, 각 대학에 소속된 교수 한 명이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문항은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작업치료사 대상의 보조공학 워크숍 결과 내용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학제에 따른 결과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조공학사 국가시험 동일과목 인정심사 신청 현황에서 신청 후 인정을 받은 대학이 52.7%이었고, 향후 추가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과목은 주택환경개조 관리 및 조정이었다.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위한 노력은 학생들의 진로 탐색 및 취업 영역 확대를 위해 60.0%가 매우 노력하거나 노력한다고 하였다. 융합교육과정에 대해서는 90.9% 이상이 좋은 방안이라고 하였고, 필요한 역량은 보조공학사 실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서비스 연계, 공학 지식 등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사 자격취득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한 양질의 취업처 발굴과 확보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작업치료(학)과의 보조공학 관련 실태와 교수들의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조공학 분야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4,900원
6.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노인을 위한 가정환경수정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 연구가 노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수집하였다. 이후 VOSviewer를 활용하여 서지 정보를 기반으로 연도별 문헌 수, 학문 분야, 연구 국가 및 지역, 연구 기관, 키워드,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저술(Co-authoring)분석과 동시출현(Co-occurrence)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 2018년 이후 매년 100편 이상의 문헌이 출판되었다. 공공환경 및 직업보건 분야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국가별 분석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은 인용 횟수와 연결 강도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연구 기관은 40편의 문헌을 출판한 University of Sydney이었다. 주요 키워드로는 ‘건강’이 가장 높은 빈도와 연결 강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노인을 위한 가정환경수정에 대한 연구 동향과 키워드 간의 연결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노인 복지 서비스에서 가정환경수정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