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군정 서울 지도의 서지학적 분석 KCI 등재

A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Seoul City Map of the U.S.A.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7497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5.15.2.0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1945년 해방을 맞이한 후 1954년까지 한국은 해방과 미군정, 그리고 한국전쟁 등으로 거의 10년간 국토의 지도 제작에 대한독자적인 관심을 가질 수 없었다. 그 당시에 사용된 지도는 미군 지도가 유일하다. 현재 텍사스 대학이 소재하고 있는 1946년, 1951년에발간된 미육군지도창 제작 서울 지도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어 있다. 이에 반해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1951년의 미군정 지도는 한국에서 희소한 자료로 판단된다. 이들 미군정 지도는 군사작전과 지형 및 도시경관 변화 연구에 매우 유익한 당시의 정보를 제공한다.이 연구의 목적은 1946년 초판 발행되고 1950년 재편집되었으며, 1951년에 발간된 미육군지도창에서 UTM 좌표계로 제작한 서울 중심부의 지도를 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미군정 지도의 발달과정을 고찰한다. 그 다음으로, 온라인 공개된 미군 지도와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미군정 지도의 서지학적 특성을 비교한다. 특히, 좌표체계, 축척, 방위, 투영법, 지명, 행정구역, 범례, 출처,용도 등 지도의 기본 구성 요소별 특징을 고찰하고 색필로 수기된 내용의 지리적 의미를 고찰한다. 본 지도는 서울의 토지이용과경관의 변화를 연구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Korea had experienced the recession of the map publishing and cartography from 1945 of liberation to 1954,one year after Korean War in Korea. Korea could not have an independent interest on mapping about national territory for approximately 10 years due to a series of the periods of liberation, under-control of the U.S.A.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only map used at that time was one for the military of the U.S.A. The most popular map open in the online is now located 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nd was produced by the Army Map Service in 1946 and 1951. The map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re-edited by using UTM coordinate system in 1951 is a rare and so valuable document. It provides very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n th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changes in geomorphology and urban landscap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oul map produced by the Army Map Service in 1951 bibliographically. Thus, firstly this study simpl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ilitary map. Secondly, the maps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will be compared. Thirdly, the basic components of the maps will be investigated by coordinate system, scale, direction, projection, geographic name, administrative unit, legend, source, application, and meaning of hand-written marking.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on the maps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will be the research bases for land cover and use, geomorphic change, and urban landscape in Seoul.

목차
I. 서론
 II. 미군정 지도의 발달과정
 III. 미군정 지도의 서지학적 분석
 IV.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
  • 이민부(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 Minboo Lee
  • 김걸(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Kir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