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스포츠 지도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스포츠멘탈코칭 도입의 방해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 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도자 경력이 5년 이상인 대학축구지도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 를 수집한 뒤 전사하여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3개의 일반영역(직면하고 있는 현장상 황, 스포츠심리학과 현장과의 괴리감, 멘탈코칭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9개의 세부영역(시간적 여유부족, 경제적 여유부족, 환경적 여유부족: 중요성 인식부족, 우선순위밀림, 정보부족: 선수와 지도자간 관계에 대한 우려, 지도 방향성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불신)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멘탈코칭 현장도입을 위한 걸 림돌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멘탈코칭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의 출판연도, 연구저자, 공인용, 키워드 현황을 분석하여 운동과 실 행기능에 관한 연구동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Web of Science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련한 학술지 총 1577편을 대상으로 CiteSpace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계량서 지학적 분석, 데이터 시각화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6년 동안 출판편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 였으며, 주로 미국에서 발표한 연구편수가 많았고, 연구의 영향력도 컸다. 둘째, Arthur F. Kramer와 Yukai Chang 을 중심으로 협력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피인용이 높은 연구는 주로 메타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무작위대조실 험으로 구성된 연구였다. 넷째, 키워드 현황으로는 연구방법, 관여질병, 관여방식, 연구내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키워드 클러스터에 따르면 인지기능, 요가, 우주비행, 사건관련전위, 일회성 운동, 자기관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학자 간 협력이 다수 존재하고 공인용 문헌은 ‘운동은 인지를 변화시킨다’ 와 ‘운동은 인지구조를 변화시킨다’ 두 가지로 나뉘었다. 또한 학자들은 이미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 에서, 다양한 대상, 방법을 통해 운동과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중독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30편과 학위논문 24편의 논문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중독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ES=.252(.268)). 둘째, 운동중독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감정적 애착(ES=.409), 금단증세(ES=.247), 운동욕구(ES=.245), 갈등(ES=.0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은 심리적 행복감(ES=.311)과 여가만족(ES=.311)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삶의 질(ES=.165)과 생활만족(ES=.127)에는 비교적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넷째, 운동중독은 조절변인(남성비율, 출판년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운동중독의 부정적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행동 통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