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형분석을 통한 땅밀림지의 특성조사 KCI 등재

Analysis of the Topography on the Land Creep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0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땅밀림지의 지형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면형상비 (Aspect비)가 1.00 미만인 땅밀림지는 전체 57개소 중 27개소(약 47.0%)로 0.28 ~ 0.97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평면형상비가 2.00 미만인 경우는 전체 57개소 중 55개소(약 96.0%)로 나타났다. 땅밀림지의 종단형상비(등가마찰계수, H/L)가 1.00 미만인 지역은 총 57개소 중 34개소(약 59.0%)로 이 지역의 땅밀림은 암괴가 많고 이동거리가 짧아 등가마찰계수는 작게 나타난 것이다. 점토와 수분이 많은 땅밀림지는 유동성이 크므로 등가마찰계수는 크게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땅밀림지 중 23개소(약 40.0%)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7개소의 땅밀림지 중 등고선 상에서 지형의 변화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지형 즉, 땅밀림이 발생하기 전 비탈면의 지형에 따라 땅밀림 지형도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특히 땅밀림에 기여하는 지형인자 중 사면형태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사면의 형태는 요형사면, 애추(40◦이상의 경사지의 전부) 철형사면, 평행사면 요형사면과 복합사면으 로 구분하고, 이렇게 미세하게 변하는 지형인 미세지형은 볼록(凸)상대지상지형은 전체 57개소 중 27개소(약 47.0%)로 가장 많았다. 평면형지형은 말발굽형은 29개소(약 50.0%)로 가장 많았다. 땅밀림지역의 미세지형의 등고선 간격은 평균 27.2(0.0 ~ 82.2)m로 땅밀림지 내에서 미세지형을 제외한 땅밀림지 내의 평균등고선 간격은 26.3(0.0 ~ 65.6)m로 미세지형의 등고선 간격이 0.9(0.0 ~ 16.6)m 더 넓었다. 따라서 지형분석을 통하여 땅밀림 발생가능지역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땅밀림지에 대하여 미세지형을 분석하면 지형도로 땅밀림지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고,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landcreep area by analyzing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landcreep area generated in Korea. The landcreep area with an Aspect ratio of less than 1.00 was 27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47.0%) with a range of 0.28 to 0.97 per cent. In addition, 55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96.0%) were found to have a plan ratio of less than 2.00. There are 34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59.0%) in areas where the longitudinal ratio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H/L) of landcreep area is less than 1.00, and the landcreep is a small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due to the large number of rocks and short travel distances. The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is large because clay and watery landcreep area are highly flexible, and 23 plots of Korea's landcreep area sites (approximately 40.0%) are found to be equivalent. Of the 57 plots landcreep area sites, the number of micro-geographical areas was 27 plots (approximately 47.0%) of the total 57 plots sites. The largest number of horseshoe types were 29 plots (approximately 50.0%). The average contour clearance of the micro-gear in a dense area was 27.2 m (range 0.0 ~ 82.2 m), with the mean contour clearance within the land-milled land excluding the micro-gear being 26.3 m (range 0.0 ~ 65.6) m, which was 0.9 m wider than the contour clearance of the micro-gear.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landcreep potential area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topographical analysis, and that analyzing the micro-geography of the landcreep area can develop technology to predict the landcreep area on topographical roads, and increase its accuracy.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및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땅밀림지의 Aspect비
    2. 땅밀림지의 종단형상비(등가마찰계수, H / L)
    3. 땅밀림지의 미세지형 특성
References
저자
  • 박재현(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ae-Hyeon Par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박성균(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eong-Gyun Par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