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의 직업다변화 및 결정요인 분석 KCI 등재

Occupational Diversification of Doctora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8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한국에서 전통적인 과학기술인력 직업군의 경계는 빠른 속도로 허물어지고 있 다. 한편으로는 지식기반경제의 등장과 확장으로 과학기술이 전통적 활용영역을 넘어 확산 됨에 따라 과학기술인력 역시 다양한 융합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학력 인구의 비중에 비해 고급 직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서 기인한 하향취업이 그러한 경향을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박사급 이공계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를 살 펴보고 그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관련 직종을 전통적 과학기 술직업군과 기타 직업군으로 나누어 그 비중의 변화를 도출하며,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 박사인력의 직업구성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다변화는 공학보다는 이학 분야에서, 공공보다는 민간 분야에서, 그리고 신규 세대일수록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boundaries of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T) have quickly blurred in Korea. On the one hand,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emerged and S&T proliferated beyond conventional areas, leading scientists and engineers to advance into various convergence fields. On the other hand, Korea’s labor market is characterized by a higher percentage of highly-educated human resources and a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high-quality jobs. As a result, the highly educated in S&T have flowed over the traditional careers into non-S&T careers. Focusing on doctorates in S&T, this paper analyzes changes in their career patterns and identifies main determinants. Specifically, jobs are categorized into traditional STEM occupations and the others in order to identify fluctuations in their share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uch changes. The analyses are based on data from the ‘Survey on Careers and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 2012’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exhibit marked changes in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of doctorates in S&T. Occupational diversification has been proceeded faster in natural sciences, the private sector, and the younger generation than in engineering, the public sector, and the older generation.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Ⅲ. 데이터
Ⅳ. 고급 과학기술인력 직업다변화 추이
Ⅴ. 직업다변화 결정요인 회귀분석
Ⅵ. 연구의 결론과 한계
참고문헌
저자
  • 조가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 Kawon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