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 KCI 등재

A Study of Nurse's Stress, Symptoms and Turnover Inten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2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병원 간호사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9월 1일부터 12월 1일까 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 균, 표준편차, t-test, ANOVA,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평균이 95.05±10.21점, 스트레스 증상은 200.02±50.73점, 이직의도는 39.591±8.3점 이었고,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증상과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다학재적 지원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본 연구 결과는 간호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Stress, Stress Symptoms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Method: Data was accumulated from 183 nurses serving at least more than one year in 500 bed order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three months from October 1, to December 30, 2018.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correlation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perceived stress of the subjects was 95.05 ± 10.21, stress symptoms were 200.02 ± 50.73 points, turnover intention was 39.591 ± 8.3 points. As the perceived stress increased, the stress symptoms and turnover intention increased appear.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ultidisciplinary support system to reduce the perceived stress of the n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as basic data for efficient operation of nursing personnel.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자료수집방법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증상,이직의도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스트레스증상, 이직의도 정도
    3.4. 대상자의 스트레스, 스트레스증상,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4. 결과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김중경(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Jung-Ky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Gimcheon University)
  • 조영미(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Young-Mi Cho (Department of Nursing,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