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승강기 갇힘 사고 시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색 온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승강기 내부 조명의 색온도를 4단계(3000 K, 6000 K, 9000 K, 12000 K)로 조절하였다. 실험은 20대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다. 각 상황별 이용자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심전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000 K와 비교 시 3000 K, 6000 K, 9000 K에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1). 그 중 3000 K의 조건에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승강기 갇힘 사고 시 3000 K의 색 온도가 승객으로부터 안정감을 유발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승강기 갇힘 사고 시 승객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ost stable color temperature that can relieve the anxiety of passengers in case of an elevator trapped accid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0 adult men in their 20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interior lighting of the elevator was adjusted to four stages (3,000 K; 6,000 K; 9,000 K; and 12,000 K). Electrocardiogram (ECG)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observe the reaction of the user’s autonomic nervous system decline in 3,000 K; 6,000 K; 9,000 K compared with 12,000 K, wh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cognized (p < 0.01). Among them,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as the lowest under the condition of 3,000 K.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lor temperature of 3,000 K induced a sense of stability among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elevator jam.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it seems that the stability of passengers will be secured in the event of an elevator j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