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라북도지역의 산지에서 토석류 취약지 예측기법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Debris Flow Hazard Areas at Rugged Mountain Range of the Jeollabuk-d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9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산지재해는 1차적으로 산지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되어 2차적으로 계류를 따라 토석류로 이동 및 확산되면서 산지 하부지역의 시설지와 주거지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의 토석류 발생지 79개소를 조사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발생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고, 수량화이론(I)을 이용하여 발생 길이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해 예방적인 측면에서 전라북도 지역 내 토석류 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예측기준을 작성하였다. 토석류의 발생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모암(화성암), 횡단사면(복합사면), 입목 흉고직경(6cm 이하), 표고(501m 이상), 발생위치(산록) 등이었다. 각 인자의 범위를 추정한 결과, 모암(0.5633)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전라북도 지역의 토석류 발생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횡단사면(0.4565), 사면위치(0.3568), 흉고직경(0.3274), 표고(0.3052)순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지역 산지에서 토석류 발생 위험도 판정식을 기준으로 5개 인자의 카테고리별 점수를 계산한 추정치 범위는 0점에서 2.0092점 사이에 분포하였다. 중앙값인 1.0046점을 기준으로 토석류 위험도 예측을 위한 등급을 분류한 결과 Ⅰ등급은 1.5070 이상, Ⅱ등급 1.0047 ∼ 1.5069, Ⅲ등급 0.5023 ∼ 1.0046, IV등급 0.5022 이하로 나타났고, Ⅰ등급과 Ⅱ등급에서 토석류 발생비율이 76%로서 비교적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판정표는 전라북도의 산지에서 지역의 위험 비탈면에 있어서 토석류 발생 위험도 판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imary mountain disasters are landslides on mountain slopes, and secondary debris flows can spread along mountain streams, damaging facilities and settlements in lower are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s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I) for the prediction of debris flow length of jeollabuk-do,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ange b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parent rock (0.5633) and, vertical slope (0.9581)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cross slope (0.4565), position(0.3568), DBH (0.3274) and altitude (0.3052). The extent of the normalized score by category of 6 factors was 0 to 2.0092, and the middle score was 1.0046. The prediction criteria on debris flow occurrence based on the normalized score divided into 4 classes. It was over 1.5070 for class I, class Ⅱ was 1.0047 to 1.5069, class Ⅲ 0.5023 to 1.0046 and class Ⅳ was below 0.5022. The prediction on debris flow occurrence appeared relatively high accuracy rate as 76% for class ⅠandⅡ. Therefore, this prediction criteria for debris flow will be very useful for judgement of dangerous slop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 방법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전라북도 지역의 토석류발생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
    2. 토석류 발생에 대한 주요 인자의 상대점수 분석
    3. 토석류 발생 위험지역 예측
References
저자
  • 마호섭(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o-Seop Ma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l Univ.(Insti. of Agri. Llife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이은재(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Eun-Jai Le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 강원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연구부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Won-Seok Kang (Forest Restoration and Resource Management Division, Forest Conservation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이성재(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술림) | Sung-Ja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