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비평문 탐색: 온라인 수업시연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Social Studies Class Criticism of Pre-servic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7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사회과수업비평문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강의 과정에 수업비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상황에서 사회과 교사교육을 받은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사회과수업비평문을 수업비평 관찰 모형에 준거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비평문의 초점은 주로 수업 활동과 수업 설계로 수렴되었다. 이것은 그동안 척도 중심의 수업관 찰지표 중심으로 수업 읽기에 익숙해져 있음에 기인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관심이 어떤 방법으로 수업 활동이 전개되느냐에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수업비평문에는 수업관찰요소의 ‘무엇을’,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상호교섭이 자유로웠으며, 요소 사이의 특정한 결합규칙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어떻게 보는가’의 방법에 따라 비평문의 인상과 글의 논조가 결정되었다. 셋째, 수업비평문에는 각 수업에서 드러나는 과학성, 예술성, 특이성이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사회과 수업자로서 부분과 전체를 감식하고, 교란 상황에서 수업의 본질을 회복할 방법을 구안하는 교과전문가로서 자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과의 의미는 다양한 범주에서 나타났는데, 수업 내용 원천의 학습자 일상성과 탐구와 문제해결 중심 수업 방법의 교과 전통성, 협업과 사회성 함양 중심의 사회과 역할론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에게 수업비평문 쓰기는 교과와 수업에 대한 본질과 이해를 스스로 배우는 자기학습의 실천으로서의 의미이자, 동질 집단 속에서의 다양한 만남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집단지성 형성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ocial studies class criticism of elementary school preparatory teachers. To this end, the curriculum and lecture courses of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were designed to include a series of courses related to class criticism. Based on this, the online social studies review of prospective teachers who received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was analyzed under the class criticism observ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cus of class criticism mainly converged on class activities and instructional design. This was due to the familiarity with the class reading that was focused on scale-oriented class observation indicators. Second, the class review was freely negotiated regarding what, and how to look at of the class observation elements, and there appeared no specific rules of union between the elements. However, the method of delineation determined the impression of criticism and the tone of the article. Third, the class review revealed science, artistry, and peculiarities in each class. In this process, I could identify my qualifications as a social studies class teacher who judges both the parts and the whole. Fourth,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recognized by prospective teachers appeared in various categories: the learner's daily life in the source of class content; and the curriculum tradition of the class method that was focused on inquiry and problem-solving; and the role theory of social studies centered on collaboration and social cultivation. Through this, the meaning of writing a class criticism for a prospective teacher was confirmed as a practice of self-directed learning wherein the teachers learn the ess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classes on their own; and as a process of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of teacher expertise through various meetings within a homogeneous group.

목차
요 약
Ⅰ. 행위력을 가진 실체로서 수업비평
Ⅱ. 연구 설계
    1. 연구참여자
    2. 연구 절차
    3. 비평대상 수업
    4. 자료처리 및 분석틀
Ⅲ. 수업비평문 분석결과
    1. 비평초점 분석
    2. 관찰 요소들의 결합 양상
    3. 사회과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4. 교과관과 그들의 성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문현진(울산구영초등학교) | Moon Hyun-Jin (Gu Yeong Elementary Schoo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