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인도 예슈 삿쌍(Yeshu Satsangs)의 교회적(ecclesial) 정체성: 대런 듀억슨(Darren T. Duerksen)의 연구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cclesial Identity of Yeshu Satsangs in North India: Focus on Darren T. Deuerkson’s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101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20.4.2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삿쌍(Satsang)이란 “진리의 모임”이란 뜻으로 힌두 혹은 시크 박타(bhata)들이 모여 의식(예배)을 치르는 곳을 말한다. 이런 삿쌍 문화를 활용하여 힌두/시크교의 신이 아닌 예수에게 헌신하고 예수를 따르는 박타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예배를 드리는 곳이 예슈 삿쌍 (Yeshu Satsang)이다. 내용은 교회와 유사하지만 음악, 그림, 상징 등 그 형식은 힌두/시크적이다. 듀억슨은 북인도에서 이런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그는 예수에 대한 박티적 헌신, 하나님의 축복과 성령의 역사(기적), 악의 분별, 복음의 증거, 이 네 가지를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으로 지적한다. 그리고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이 사도행전에 나오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가 형성하고 있었던 교회의 정체성과 연관될 수 있는 것으로 보면서 어느 정도의 성서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필자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보다는 교회의 정체성을 완성형으로 구현한 바울의 “인-크라이스트”(in Christ)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면서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에 대해 재평가하고 인도 선교를 위한 예슈 삿쌍의 앞으로 의 역할을 전망한다.

Satsang meaning “gathering of truth” refers to a place where Hindu or Sikh bhaktas regularly meet and practice their function. Utilizing this satsang culture, Yeshu bhaktas, who give their devotion to Jesus and follow him, are forming their community. Deuerkson has analyzed the ecclesial identity of some Yeshu satsangs in North India, that is, bhakti devotion to Jesus, focus on God’s blessing and the Holy Spirit’s work(miracles), the discernment of evil, and being a witness. Then he critically correlates the ecclesial identity of the disciples’ community in Acts to Yeshu satsangs. Instead and more critically, I re-evaluate the ecclesial identity of Yeshu satsangs from the “in Christ” identity of the Apostle Paul, who almost wholly embodied the ecclesial identity.

목차
한글 초록
I. 시작하는 말
II. 예슈 삿쌍 공동체의 지도자들
    1. 예슈 박티 삿쌍의 지도자들(힌두)
    2. 아리아 사마즈(Arya Samaj) 예슈 삿쌍의 지도자(힌두)
    3. 시크 예슈 삿쌍의 지도자들
III. 예슈 삿쌍의 실천방식
    1. 자기 설명(self-ascription)
    2. 예배
    3. 성경의 사용
    4. 성만찬(prabhu bhoj, 주의 만찬)
    5. 세례
IV.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의 표지들
    1. 예수에 대한 박티적 헌신
    2. 하나님의 축복과 권능의 경험
    3. 악(evil)의 분별
    4. 증거(witness)
V.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과 사도 바울의정체성
VI. 끝맺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윤서태(인도 Madras Theological Seminary & College 교수, 선교학) | Suh Tae Yun (Professor, Madras Theological Seminary & College in India)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