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염성 질환의 범국가적 사태에 대한 기독공동체의 통전신학적 고찰 KCI 등재

The Holistic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Pan-National Situation of Infectious Dise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103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20.4.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2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전 세계를 범유행(Pandemic) 상황에 빠뜨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2019, COVID-19, 이후 ‘코로나 19’)의 창궐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기독교의 올바른 신학과 가치관을 모색하기 위해 현 사태를 성경 적, 역사적, 신학적, 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기독공동체는 어떠했 는지 그 통전의 역사를 찾아본 다음, 기독공동체가 세상과 더불어 건강한 종말론적 사고로 공존하도록 신학적 통전성을 도출하려는 데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 19로 나타난 사회적 논란의 대표적인 주제 곧 전염병 사태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는 조직신학 에서, 예배에 대한 공간과 현장성은 예배신학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동선에 관하여는 공공신학에서, 창조 세계와 하나님과의 연합에 관해서는 선교신학에서, 기독교와 정부의 관계적 측면에서는 정치신학 을 통해 다루면서 이러한 여러 신학적 입장을 통전성과 연결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에서 기인한 통전신학은 선교적 입장에서만 다루어 질 것이 아니라 다른 신학과도 연결되어 논의될 때 통전성에 대한 신학적 학문성은 더 깊고 폭넓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tional and Christological countermeasure of Korean churches, which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outbreak of COVID-19 that has recently put the world in a pandemic situation.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ct theology and values of Christianity against the crisis of infectious diseases from a biblical, historical, theological, medical, and holistic perspective. It is to allow today’s churches and Christians to live in a healthy eschatological thought. In order to draw this purpose, I tried to find systematic, liturgical, public, mission, and political theological views by linking it with ‘Holistic theology.’ Theology should be able to answer questions in all circumstances holistically.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전염병에 대한 관점
    1. 구약적 관점
    2. 신약적 관점
    3. 역사적, 신학적 관점
    4. 의학적 관점
Ⅲ. 전염병에 대한 기독공동체의 통전적 역사
    1. 초대교회 당시 전염병과 기독공동체
    2. 종교개혁시대 흑사병과 종교개혁자: 루터, 츠빙글리, 칼뱅
    3. 한국 초기 전염병과 의료선교
Ⅳ. 전염성 질환 사태에 대한 통전신학적 고찰
    1. 조직신학적 고찰, 비판적 차별의식에서 유기적 연대 의식으로
    2. 예배신학적 고찰, 삶으로 증언하는 실존적이고 선교적인예배로
    3. 공공신학적 고찰, ‘사회적 거리두기’를 넘어 ‘통전적 다가가기’(Holistic approaching)로
    4. 선교신학적 고찰, 모이는 전통적 교회에서 흩어지는 선교적돌봄교회로
    5. 정치신학적 고찰, 정교분리의 방어적 태도에서 정교협력의선제 대응으로
Ⅴ. 나가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김신구(서울신학대학교 박사과정, 목회와 교회성장) | Shingu Kim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