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Depression of Out􀀐of􀀐school Youths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1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부모지지 및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 데이터를 가지고 학교 밖 청소년 31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 2(df)=844.573(421), CFI=.924, TLI=.916, RMSEA=.057로 양호한 값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서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모지지와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 부모지지 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 지지와 자아탄력성 강화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학적 지원방안을 제언하고, 사회적 낙인감 해소 등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depression of out-ofschool youths through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y,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ir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ifth year 'School Aborting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nd 311 out-of-school youths were test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the analysis,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research model was good values (χ2(df)=844.573(421), CFI=.924, TLI=.916, RMSEA=.057).Second, social stigma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while indirectly affecting depression through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y is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of out-of-school youth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parental support and ego-resiliency of out-of-school youths, and discussed ways to resolve social stigma.

목차
요 약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2. 청소년기의 우울
    3.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의 관계
    4. 사회적 낙인감, 우울, 부모지지의 관계
    5. 사회적 낙인감, 우울, 자아탄력성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의 타당도, 신뢰도 및 평균점수 산출 결과
    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4. 연구모형 검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및 함의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지선(우송대학교) | PARK Ji-Sun (Dept. of Social Welfare, Woos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