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험사회에서 사회적 지지, 감성지능, 학업 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tress on Resilience in Risk Society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7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최근 불확실성과 위험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일선 실무진이나 학계에서 관심 의 대상이 되고 있다. 회복탄력성은 청년층, 특히 대학생과 같은 사회초년생 집단의 감정적 격동과 그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켜 주고, 심리적 자원을 구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를 찾아보고, 이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기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변수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 감성지능, 그리고 학업 스트레스가 각각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학업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 선행변수들은 회복탄력성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회복탄력성이 가지는 특성 중 부정적인 사건발생시의 적응력 강화와 연관성이 깊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선행변수 및 변수 관계를 살펴 볼 필 요가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ise of uncertainty and risks, study on resilience has attracted some researchers’ attention.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intervening role that can establish students’psychological resources an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ir campus life. The main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ntecedent variables of resilienc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in a sample of enough individual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ing, the authors found that resilience was affected by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tress respectively. Especially,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resilienc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t facets of antecedent variables predict resilience. The authors hav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 resilience performs a great role in improving an individual’s adaptability skills when there are adverse events. Future studies should seek to further variables and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지지
    2. 감성지능
    3. 학업 스트레스
    4. 회복탄력성
Ⅲ. 연구방법
    1. 가설 설정
    2. 연구 절차
    3. 측정 도구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기초 통계량
    3.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변현수(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부) | Byeon Hyeonsu (Div.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 Nat’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강미라(백석예술대학교 항공서비스학부) | Kang Mi-ra (Div. of Airline Service, Baekseok Arts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