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프레이 국화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적정 배지 및 발근시 절편체 부위와 순화 시기 구명 KCI 등재

Selecting optimal cultural medium, the part of explants for r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period for spray chrysanthemum in vitro mass propag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스프레이 국화의 기내 대량 증식을 위한 적정 배지를 선발하고, 발근시 절편체의 부위와 순화시기가 조직배양 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저 대량증식을 위한 적정 배지를 선발하기 위해 서로 다른 조성의 식물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한 MS배지에 ‘Field Green’, ‘Green Diamond’, ‘Snow Pangpang’ 등 스프레이 국화 3품 종을 기내배양 하였다. 배양 6주 후의 배양체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MS+NAA 0.1 mg·L-1의 배양체의 초장이 무처리에 비해 1.5~2.0배 더 길었고, 줄기의 두께도 더 두꺼웠다. 그러나 BA 0.1 mg·L-1 이상이 첨가된 모든 배지에서는 캘러스와 다신초가 유도되었고 뿌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신초와 마디의 길이가 짧아졌다. 따라서, MS+NAA 0.1 mg·L-1 배지가 스프레이 국화의 기내 대량증식 단계에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선발되었다. 두번째로 스프레이 국화 우량묘를 양성하기 위하 여 ‘Field Green’ 품종에서 생장점을 포함하고 있는 줄기의 선단부와 액아를 포함하는 줄기의 중단부를 각각 기내배양 한 후, 배양 2주 후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순화하여 순화된 묘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선단부 배양체의 뿌리출현일수가 11.2일로 중단부 배양체보다 1.7일 더 빨랐으며, 순화율 과 생장의 균일성도 순화시기에 관계없이 중단부 배양체보다 더 좋았다. 또한 초장, 엽수, 줄기의 굵기, 생체중과 같은 조직 배양묘의 소질과 관련된 특성도 선단부 배양체에서 더 좋게 나타났다. 순화시기에 따른 묘 소질 조사에서는 기내배양 2주 후에 순화한 선단부 배양체의 경우 최종 조사일에 초장이 3.8±0.5 cm로 가장 짧았지만, 줄기의 굵기와 생체중은 1.5±0.2 mm와 1.3±0.3g으로 기내배양 3주와 4주 후에 순화한 묘에 비해 1.5~2.0배 더 두껍고 무거워 품질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프레이 국화의 조직배양 우량묘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내 발근시 줄기의 선단부를 절편체로 사용 하고, 기내배양 2주 후에 짧고 굵은 뿌리가 발생하기 시작했을 때 순화하는 것이 적절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optimal culture medium and investigate effects of part of explants for root induction and acclimatization period on the quality of tissue cultured seedings for in vitro spray chrysanthemum mass propagation. For selecting optimal culture medium, first, three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Field Green’, ‘Green Diamond’, and ‘Snow PangPang’ were in vitro cultured on the MS culture medium containing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In 6 weeks after culture, plant height on the MS + NAA 0.1 mg·L-1 were 1.5 to 2 times longer and plant stem were also thicker. However, in all the medium containing more than BA 0.1 mg·L-1, callus and multi-shoot were induced, roots were not emerged, and shoot and node length were shortened. Therefore, the MS culture medium with NAA 0.1 mg·L-1 was most efficient in the step of micropropagation. Second, for producing high quality tissue cultured seedlings, the tip of the stem with apical meristem (TSA) and the node of the stem with lateral meristem (NSL) of the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Field Green’ were in vitro cultured, then tissue cultured plantlets were acclimatized at week intervals after 2 week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5 weeks after the initiation of in vitro cultivation. As a result, the root emergence period in TSA culture was 11.2 days, which was 1.7 days earlier than NSL. Acclimatization rate and its growth uniformity in TSA culture were much better than NSL regardless of the acclimatization period. In addition, growth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quality of seedings such as plant height, the number of leaves,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were also much better in TSA culture. Although plant height of TSA cultured-seedlings acclimatized in 2 weeks after in vitro cultivation (WAI) was shortest at 3.8±0.5 cm,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were 1.5±0.2 mm and 1.3±0.3 g, respectively, which was 1.5 to 2 times thicker and heavier than those of 3 WAI or 4 WAI.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better to use shoot tip part as explants for root induction and acclimatize plantlets, which develop short and strong roots, after 2 weeks after in vitro cultivation for producing elite tissue cultured seedlings in spray chrysanthemum.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1. 식물재료
    2. 스프레이 국화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배지 조건
    3. 스프레이 국화 기내 발근시 절편체 부위와 순화시기가 묘 소질에 미치는 영향
결과 및 고찰
    1. 스프레이 국화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배지 조건 구명
    2. 스프레이 국화 기내 발근시 절편체의 부위와 순화시기가 묘 소질에 미치는 영향
적 요
REFERENCES
저자
  • 박상근(국립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Sang Kun Park (Department of Flori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Corresponding author
  • 이유리(국립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 Yuri Lee (Department of Flori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